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해외 ETF 투자, 환율도 살펴라"

해당국가 지수 상승해도 환율 떨어지면 기준가격 하락

최근 해외 지수의 변동성 확대로 해외 상장지수펀드(ETF)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해외 ETF와 해당 지수가 따로 움직이는 경우가 많아 투자자들이 혼란스러워 하고 있다. 31일 일본 닛케이지수는 전일 대비 무려 5.01%나 폭락했지만 닛케이지수를 벤치마크로 삼는 KODEX재팬은 오히려 0.35% 상승했다. 홍콩H지수를 추종하는 KODEX차이나H ETF도 마찬가지다. 지난 30일 홍콩H지수는 무려 16.89% 폭등했지만 차이나H ETF는 2.37% 상승하는 데 그쳤다. 브라질 ETF도 브라질 보베스파지수와 하루 평균 3~4%포인트가량 상승과 하락폭의 차이가 난다. 이유는 환율 때문이다. ETF는 기본적으로 환헤지를 하지 않는 환노출펀드이기 때문에 지수가 올라도 환율이 하락하면 순자산가치(NAV)가 적게 오르거나 오히려 내릴 수 있다. 31일 KODEX재팬의 경우 지수가 5% 넘게 폭락했지만 원ㆍ엔 환율은 증시 마감시간 당시 100엔당 50원가량 올라 4% 상승했다. 1~2%포인트의 변동폭은 수급에 의해서 좌우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ETF의 흐름을 이해할 수 있다. 삼성투신 측은 “해외 ETF 가격의 움직임을 정확히 보려면 해당 국가 증시의 폐장 시각까지 움직임, 환율 움직임 등을 다 고려해야 한다”며 “해당국 벤치마크지수가 올라도 환율이 떨어질 경우 ETF 순자산가치 하락으로 기준가격이 내려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