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경제 한류 공공기관이 앞장선다] 한국농어촌공사

농업생산 기반 조성기술 으뜸 개도국에 인프라 전수 잰걸음

지난 8월 필리핀 현지로 파견된 한국농어촌공사 직원들이 저류시설 설계를 위해 머리를 맞대고 있다. 공사는 내년부터 필리핀에 소규모 저류시설을 착공한다.


농축산업(1차 산업)을 중심으로 경제구조가 구성되어 있는 개발도상국에서는 농업·농촌 관련한 기술이전과 지원을 가장 필요로 한다. 실제로 많은 국제기구가 농업분야의 공적개발원조(ODA)를 확대하는 추세다. 이런 면에서 우리나라는 강점을 지니고 있다. 재배, 생산, 가공 등 농업기술에 있어서 세계 어느 나라와 견주어도 손색없는 경쟁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농촌용수개발기술, 방조제 축조 및 간척기술 등 농어촌공사가 보유한 농업생산기반 조성 기술은 선진국 수준이라는 평가다. 한국농어촌공사는 103년의 역사 동안 쌓아온 각종 농업기술 노하우를 바탕으로 탄자니아, 콩고, 케냐, 방글라데시 등 여러 개발도상국에 농업기술전수와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 1967년 베트남에 농업 토목 전문가를 파견한 것을 시작으로 지난해까지 24개국 95개 농업관련 사업에 기술을 제공해왔다. 대표적인 사업으로는 베트남 야수프 다목적 댐 개발사업(93년), 캄보디아 메콩강 홍수조절 계획 수립(98년), 인도네시아 까리안 댐 설계(2005년), 앙골라 농업현대화 사업(2005년) 등을 꼽을 수 있다. 현재는 방글라데시와 DR콩고에 농촌종합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탄자니아에 농산물 수확 후 관리기술을 전수하는 등 20여개 사업을 진행 중에 있다. 또한 개도국 농민들의 자립을 돕는 소액금융지원 시범사업도 추진중이다. 개발사업 외에 교육ㆍ연수 사업도 벌이고 있다. 지난해까지 91개 개도국 2,148명의 농업기술자나 공무원을 초청하여 농업발전의 노하우를 전수했다. 가봉과 파나마 대통령 등 국가원수를 포함해 아프리카 장관급 인사 20여명의 개도국 리더들도 여러 차례 농어촌공사를 방문한 바 있다. 민간기업의 해외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교두보 마련에서 나서고 있다. 해외농업개발지원센터를 통해 420억원을 들여 21개 기업이 6개 개도국에 진출할 수 있도록 도왔다. 농어촌공사는 복합산업단지 조성ㆍ 농촌마을개발 등 종합적인 인프라 지원으로 홍수조절과 같은 영농기반 조성은 물론 수력발전, 관광산업 개발 등 다양한 파급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최근 들어 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등 많은 개도국에서 한국의 농업기술과 경험을 전수받길 희망하고 있어 공사의 해외사업은 더욱 활발해질 전망이다. 공사는 앞으로 기술지원은 물론 직접 개발에도 참여하는 등 사업 방향을 다각화해 나갈 예정이다.지난달 취임한 박재순 신임 사장은 "적극적인 해외농업 진출을 통해 개도국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공사의 글로벌 경쟁력을 꾸준히 강화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