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美 `고용증가없는 경기회복` 논란

`새로운 회복 사이클인가, 경기 침체 전조인가` 성장률 기업활동 등 미 주요 지표의 경기 회복 사인에도 불구하고 일자리 수 감소 추세가 제 2차 대전 이후 최장기화하면서 경기 회복 논쟁이 재차 가열되고 있다. 이른바 `신경제 회복론`에 대한 논란이다. 미 노동부는 지난 7월 농업부문을 제외한 취업자 수가 4만4000명 감소, 25개월 연속으로 일자리수가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이 같은 수치는 지난 주 발표된 쾌조의 2ㆍ4분기 경제성장률(2.4%, 추정치), 실업률과 공장활동지수 지표 호전에 찬물을 끼얹었다. 이 같은 우려로 상승 가도를 달리던 뉴욕 증시도 지난 주말 하락했다. 이와 관련 일부 전문가들은 신경제 회복기 초입에는 국내 생산 성장률 증가에도 불구, 기업들이 고용을 확대하지 않고 기술 발달에 따른 생산성 증가를 가져올 수 있어 일자리 수가 오히려 감소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회복 사인이 더욱 확실해지는 내년 상반기에나 가야 기업들이 본격적인 확장 국면에 들어서며 고용을 늘릴 것으로 보고 있다. ] 워싱턴 소재 경제 컨설팅기관인 MBG인포메이션 서비시스의 찰스 맥밀리온 수석 경제학자는 “경제 역사상 처음 맞는 신경제 회복기를 맞아 경기 회복에도 불구하고 일자리 수가 감소하는 새로운 현상을 맞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나 일자리 감소가 미국 경제에서 3분의 2를 차지하는 소비 심리 위축으로 이어지면서 성장 기반 자체를 와해시킬 수 있다는 지적도 만만치 않다. 7월 고용지표가 발표된 1일(현지시간) 조지 W 부시 대통령이 `고용 없는 회복`에 우려를 표시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제조업 취업자의 감소도 주목할 대목이다. 제조업 취업자는 7만1000명 줄어들면서 36개월째 감소세를 기록했다. 이로써 제조업 일자리는 2000년 중반이후 모두 270만명, 16% 급감했다. 실물 경제 기반이 잠식당하고 있다는 얘기다. 플릿 보스턴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웨인 에어스는 “기업들이 여전히 비용절감에 주력하고 투자 확대 조짐이 보이지 않고 있다”며 “고용이 경기에 후행하는 지표지만 성장률이 생산성에 뒤쳐질 경우 경제 회복이 힘들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병관기자 comeon@sed.co.kr>

관련기사



이병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