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돈 챙길 목적 무속행위에 속았어도… "피해자도 40% 책임"

법원

무속인이 돈을 챙길 목적으로 신도들을 속여 종교행위를 했다고 하더라도 ‘감언이설’에 넘어간 피해자들 역시 일부 책임이 있다는 법원 판결이 나왔다. 서울서부지법 제12민사부(부장 김천수)는 경기도 고양시 A사의 신도 김모씨 등 13명이 A사 승려 정모씨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정씨는 김씨 등이 무속행사 등의 대가로 치른 금액의 60%만 배상하라”고 판결했다고 8일 밝혔다. 재판부는 판결문에서 “굿 등의 무속행위는 목적된 결과의 달성보다는 그 과정에서 얻게 되는 마음의 위안이나 평안을 위한 행위이기 때문에 행위의 목적이 달성되지 않았다고 위법한 행위라고 볼 수 없다”면서도 “신도를 속여 금원 편취 목적으로 행해진 무속행위는 종교행위를 넘어선 위법한 행위다”라고 판결이유를 밝혔다. 다만 "무속행위가 언제나 구체적인 결과를 보장하지 않는다는 것을 김씨 등도 충분히 알 수 있었을 것이며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힘든 방편을 권유하는 정씨의 감언이설에 쉽게 현혹된 김씨 등의 과실이 작다고는 할 수 없다”며 정씨의 책임을 60%로 제한했다. 김씨 등은 정씨가 발행한 ‘병을 고치거나 기적을 경험했다’는 내용이 담긴 책을 읽거나 소문을 듣고 그를 찾아가 무속행위와 부적 등의 대가로 적게는 300만원부터 많게는 6,000만원까지 지불했고 정씨에게 속은 사실을 알게 되자 소송을 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