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동남권 지역경제를 주목하라] 경남도

항공산업 국가산단 조성 속도 낸다<br>조성원가등 논란 마무리<br>2년여만에 계획안 수립<br>이달중 정부에 지정 건의

경남도 및 진주·사천시 관계자들이 '경남 항공산업 국가산단 계획 수립 용역 보고회'에서 항공산업 산단 조성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높은 조성원가 등으로 차질을 빚어온 '경남 항공산업 국가산업단지'가 2년여 만에 계획수립 등의 용역이 완료되면서 본격 추진될 전망이다. 항공산업 국가산업단지는 국내 최대 항공산업 집적지인 사천시와 진주시 등에 연구ㆍ개발ㆍ생산ㆍ테스트 등의 우수한 클러스터를 조성해 국내 항공산업을 G7 항공우주국으로 진입시키기 위한 대형 사업이다. 경남도는 지난 9일 도민의집 회의실에서 동남권발전전략본부장과 전략산업과장, 진주·사천시 담당국장 등 15명이 참석한 가운데 '경남 항공산업 국가산단 계획 수립 용역 보고회'를 열고 당초 계획안에서 사천시가 수정 제안한 계획대로 추진하되 일부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는 보완해 나가기로 했다. 경남도와 사천·진주시는 당초 '경남도 항공우주산업 특화단지 조성 기본계획'에 의해 사천시 축동면과 진주시 정촌면 일대 등 2곳(448만8,000㎡)에 항공국가산업단지를 조성하기로 하고 사업에 착수했다. 그러나 지난해 10월27일 사천소재 경남테크노파크 우주항공센터에서 비공개로 열린 중간용역보고 과정에서 당초 계획한 축동면 일대가 산지가 많아 조성원가가 높고 부지확보에 어려움이 예상된다는 판단에 따라 조성원가가 다소 저렴한 제3의 지역인 사천시 향촌동 일대를 선정해 진주시 정촌면과 이원화시키는 방안이 제기되면서 주민 반발 등 문제가 생겼다. 이에 따라 사천시는 대안마련에 나서 우선 축동면 일대를 완전히 배제하는 것에서 한발 물러나 전체 448만8,000㎡ 중 진주를 제외한 사천지역 224만4,000㎡를 축동면과 향촌동에 절반씩 나눠 조성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다. 이에 따라 반발이 가장 심한 축동면 예동마을 일대와 기존 일반산업단지 부지중 일부를 편입시켜 축동지역에 109만㎡를 조성하고 나머지는 향촌동 일대 120만㎡에 공단을 조성한다는 계획을 수립하고 경남도와 진주시와 사실상 협의를 끝냈다. 이 같은 안을 바탕으로 이날 최종안을 확정하기 위해 열린 항공산업 국가산단 계획수립 용역 보고회에서는 타당성조사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점과 조성원가에 대한 정확한 근거 등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는 보완하고 사실상 사천시가 제시한 계획대로 확정하는 한편 향후 지식경제부의 승인을 거쳐 국토해양부 국가산단심의위원회의 최종 결정에 따르기로 했다. 경남도 관계자는 "진주와 사천은 항공부품 기업체들이 밀집해 있는 등 국내 항공산업의 70~80% 가량을 차지하고,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재료연구소, 대학 항공학부 등이 있어 항공산업의 인프라가 골고루 갖춰져 있다"며 항공산단을 요청 배경을 설명했다. 한편 경남도는 이번 보고 내용을 바탕으로 최종 계획안을 수립, 1~2회의 현장 실사를 거쳐 오는 2월중 지식경제부와 국토해양부에 항공 국가산업단지 지정을 건의하고 4월까지 용역을 보완하면서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지경부 지정 요청이 떨어지면 연말께 국토해양부로부터 최종 승인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