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브릿지증권, 과연 '공중분해' 될까

금융감독위원회가 27일 리딩투자증권의 브릿지증권 인수를 승인하지 않기로 결정함에 따라 브릿지증권이 대주주인 브릿지 인베스트먼트 홀딩스(BIH)측의 공언대로 `공중분해'될 가능성이 한층 커졌다. 지금까지 BIH측이 회사의 존속 보다는 매각이나 청산을 통한 투자자본 회수에중점을 둬 왔고 일단 다음달 1일로 예정된 주주총회에 청산 안건이 제기된 만큼 주총장에서 만큼은 청산 결정을 뒤집기가 거의 불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인수를 시도했던 리딩투자증권은 일단 당국의 결정에 승복하겠다는 입장이다. 리딩투자증권 관계자는 "그동안 인수자로서의 자격이 충분하다고 주장해 왔던만큼 이번 결정에 섭섭한 부분이 있다"면서도 "투자은행으로의 성장 전략을 세워놓고 있기 때문에 또다른 인수 대상을 찾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결정에 대해 브릿지증권측은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만 밝히고 있다. 이대로 주주총회를 거친다면 `돌발변수'가 없을 시에 77% 이상의 지분을 보유한BIH측의 뜻대로 회사 청산 안건이 의결될 것이 거의 확실한 상태다. 지난 1954년 전신인 대유증권으로 출발한 브릿지증권은 지난 1998년 대유리젠트증권, 지난 2000년 리젠트증권을 거쳐 지난 2002년 일은증권을 흡수합병하면서 현재의 이름을 갖게 됐다. 그러나 지난해 사업보고서에 대해 외부 회계감사인으로부터 `의견거절' 판정을받으면서 주식시장에서 퇴출될 위기에 몰린데 이어 청산마저 결의될 경우 브릿지증권은 50여년간의 역사에 종지부를 찍게 된다. 또 이날 현재 모두 20%정도의 지분을 가진 것으로 추정되는 소액주주들의 피해가 불가피해졌다. 그러나 BIH측의 투자자금 회수 의지가 관철될지 여부는 아직 미지수다. 전국증권산업노동조합 브릿지증권 지부(브릿지증권 노조)는 "위스콘신 연기금을비롯한 대주주들에 대한 설득과 법적 대응 등을 시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짐 멜론 BIH 회장이 기소중지 상태라는 점은 물론 소액주주들의 브릿지 이사 4명을 상대로 한 직무집행정지 가처분신청이나 투기자본감시센터의 형사고발 문제가아직 해결되지 않았다는 점도 BIH 입장에서는 돌파해야 할 난관 중 하나다. 청산 자체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서도 아직 여지는 남아 있다. 리딩투자증권 관계자는 "시간이 걸리더라도 BIH측은 청산을 시도할 것"이라고전망했지만 다른 증권사 관계자는 BIH측이 "최대한 빠른 투자 회수 방법을 찾을 것"이라며 굳이 청산을 고집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시사했다. 지난 2002년 9월에도 BIH측이 임시주주총회를 통해 상장폐지 안건을 통과시켰지만 같은해 12월의 임시주총에서 이같은 결정이 뒤집힌 사례가 있었다는 점도 브릿지증권의 앞길이 완전히 막히지 않았을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조금이나마 내비치고 있다. 거래정지 직전인 지난 24일 현재 브릿지증권의 외국인 지분율은 80.84%, 시가총액은 939억5천900만원이었다. (서울=연합뉴스) 김세진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