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 부실채권 재산정 보고 요구

금감위, 이달말까지… 자본확충 어려울땐 자구책 불가피금융감독위원회가 시중은행과 지방은행에 대해 이달말까지 고정이하 부실채권 규모를 재산정해 보고토록 요구했다. 정부는 추가 부실이 드러날 경우 이를 인정해주되 증자계획 등을 받을 방침이어서 자본 확충이 어려운 은행의 경우 자발적 합병 등의 자구책 마련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금융감독위원회 고위관계자는 9일 은행 부실과 관련한 국내외 투자자들의 의혹을 씻어 대외신뢰도를 높이기위해 이달말까지 새로운 자산건전성분류기준에 의거,고정이하 부실채권 규모를 정확히 산출해 제출토록 은행에 요구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번에 추가로 발생하는 부실채권에 대해서는 은행에 책임을 묻지않을 방침이지만 추후 부실은폐 등이 드러날 경우 은행장 등 경영진에 대해 경영책임을 묻는 등 강력히 조치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감위는 이번 조사에서 추가 부실이 많이 나오는 은행에 대해 증자 등 별도의자본확충계획을 받을 계획이다. 정부는 은행의 추가부실에 대해 공적자금을 투입하지않는다는 입장이어서 타당성있는 자본확충 계획을 세우지 못하는 은행들은 자발적 합병이나 점포·인력감축 등의 살 길을 찾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금감위 관계자는 추가부실이 과다하게 나오는 은행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만약 자본이 크게 잠식되는 은행이 나올 경우 증자가 어렵다면 특단의 자구책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금융감독원이 최근 발표한 은행권의 작년말기준 부실규모는 고정이하 채권만을부실로 본 구 금감원 기준으로는 24조3,000억원, 새로운 자산건전성분류기준으로는 39조7,000억원이었다. 김영기기자YGKIM@SED.CO.KR 입력시간 2000/05/09 20:16

관련기사



김영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