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부실로 초래된 글로벌 신용경색과 자금시장 불안을 잠재우기 위해 선진7개국(G7)이 공조방안을 본격 마련하기로 했다.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와 유럽중앙은행(ECB), 영란은행(BOE) 등 선진국 중앙은행이 무분별한 고위험 채권투자 실패로 자금난에 시달리고 있는 금융기관에 유동성을 제공하기 위해 취해온 재할인율 인하, 자금 직접지원 등의 조치가 대증요법에 불과할 뿐 근본치료가 안 된다는 위기감에 따른 것이다. G7 재무장관과 중앙은행장들은 오는 10월 워싱턴에서 연석회의를 갖고 ▦금융기관 부실현황 점검 ▦신용평가기관 역할 평가 ▦파생상품 투명성 제고 ▦유동성 투입 등의 방안에 대해 폭넓게 논의한 뒤 가시적인 ‘행동’에 들어갈 것으로 알려졌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이 이번 신용경색을 계기로 금융시장의 투명성 제고를 위해 행동에 들어가야 한다고 거듭 촉구하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과 영국이 이를 수용해 G7 차원의 공조방안을 마련하게 된다. 지난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를 계기로 스위스 바젤에 설립된 ‘금융안정화포럼(FSF)’도 금융시장 안정대책을 마련해 G7 회의에 제출하기로 했다 G7 연석회의에 앞서 유럽연합(EU) 재무장관과 중앙은행장들도 14ㆍ15일 이틀간 포르투갈 포르토에서 긴급회동을 갖고 금융시장 불안 해소방안을 논의하기로 했으며 헨리 폴슨 미 재무장관도 다음주 프랑스ㆍ독일 등 유럽 순방에 나서 재무장관들과 글로벌 신용경색을 해소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을 협의하기로 했다. 신용경색 사태 이후 직접 개입 금지를 원칙으로 내세웠던 BOE가 모기지 부실로 경영악화에 시달리고 있는 노던록을 구제하기 위해 긴급 자금투입에 나선 것도 G7 회의에서 가시적인 행동조치가 마련되는 것 아니냐는 기대감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알리스테어 다링 영국 재무장관은 13일 회견에서 “G7 국가들은 금융시장 안정에 도움이 되는 조치들을 취해나가야 한다”며 기존 중립위치에서 선회할 수 있음을 내비쳤다. 데이비드 매코믹 미국 재무차관도 이날 “금융기관 유동성 실태와 신용평가기관 역할을 시의 적절하게 점검하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파생상품 회계장부에 대한 감독도 충분한지 검토해야 한다”고 말해 G7 회의에서 미국이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임을 암시했다. 한편 일각에서는 부실 금융기관에 대한 직접 자금지원에 나서고 있는 프랑스ㆍ독일과 달리 미국과 영국은 시장개입에 다소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어 강력하면서도 통일된 금융시장 안정화방안이 도출될 수 있을지에 의문을 나타내는 시각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