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中企 인력난 자구책 필요

최근 한 중소업체에 취업을 시도한 P씨(27)는 면접 도중 지원을 포기했다. 이유는 간단했다. “월급이 적은 건 알았지만 근무여건이 지나칠 정도로 열악했다”. 초과근로수당, 복지개선 내용은 전무한 채 `무조건 회사를 위해 일할 사람`만 찾더라는 얘기였다. 중소기업 인력난이 가중되고 있다. 여기에 최악의 경기불황과 8월말로 다가온 불법체류 외국인근로자 강제출국 등으로 상황은 더 심각해 보인다. 인력난 하소연에 각계에서 우려와 동정의 눈길이 더해지는 이유다. 하지만 따져보면 인력난은 유휴 노동력을 끌어들일 인센티브를 제공하지 못한 중기 스스로의 탓이 크다. 지난 달 중기청이 전국 893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가 이를 반영한다. 인력 충원이 힘든 이유로 대부분 임금조건 미흡(28.2%), 작업환경 열악(13.8%), 중소기업 기피(13%) 등을 꼽고 있다. 구직자 입장에서 보자면 아무리 최악의 실업난이라도 월급 적고 근로여건이 열악한 중소기업은 피하겠다는 얘기다. 아직까지 국내 중소기업들은 `낮은 월급에도 말 잘 듣고 열심히 일할 인력`을 요구하는 70년대식 고용마인드를 갖고 있는 경우가 허다하다. `굴뚝`으로 불리던 전통제조업으로 갈수록 이런 현상은 심각해 진다. 몇몇 중소기업 사장은 “솔직히 내 자식들이라면 이런 근무여건에서는 일하게 하고 싶지 않다”고 고백할 정도다. 그러면서도 임금 조건이나 작업환경을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은 적다. 인력을 경쟁력 확보를 위한 `투자`보다는 제품 생산을 위한 `비용`으로만 간주하기 때문이다. 결국 값싼 노동력에 기반한 가격경쟁력을 확보해야만 생존하는 것이 국내 중기의 현 주소다. 이미 알고 있듯이 이제 우리 기업들이 `값싼 노동력`에 기인한 가격경쟁력에 의존할 시기는 지났다. 중소기업도 마찬가지다. 정부 지원과 보호로 저임 노동력을 확보해야만 살아남을 수 있다면 경쟁력 확보는 요원한 일이 된다. 인력난에 대처하기 위해 중기 스스로가 적극적으로 인센티브를 창출, 이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대구에 위치한 한 소규모 가전업체는 지난 10년 동안 한 번도 인력난을 호소한 적이 없다. 비결은 간단했다. 경영 성과에 따라 정기적인 보너스를 제공했다. 수시로 직원들에게 회사 사정을 알리고 경영 자문과 이해를 구했다. 대기업 만큼은 아니더라도 좋은 인력을 끌어들일 요인들을 스스로 만든 경우다. 인력난을 호소하는 중소기업들이 한번쯤 재고할 일이 아닌가 싶다. <현상경기자(성장기업부) >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