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금융기관이 급격하게 자산을 늘리고 있어 고민입니다."
금융 당국 고위관계자가 기자에게 건넨 말이다. 그는 "자산을 너무 빨리 늘리면 반드시 부실 등의 문제가 생긴다"고 지적했다.
신용협동조합ㆍ새마을금고 등 상호금융기관은 지난해 예금액을 크게 늘리면서 몸집을 엄청나게 불렸다. 지난 2008년 말 30조9,000억원이던 신협의 자산 규모는 지난해 말 39조7,000억원으로 무려 28.6%나 증가했다. 산림조합(22.6%), 수협(15%), 농협(8.8%) 등의 자산 규모 증가율도 지난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인 0.2%를 크게 웃돌았다. 행정안전부가 감독권을 갖고 있는 새마을금고의 경우 지난해 말 예금잔액이 68조1,659억원으로 한해 동안 21.3%나 늘었다.
문제는 이들 상호금융기관이 자산운용처가 마땅치 않은 상황에서 '우선 키우고 보자'는 식으로 몸집을 늘린다는 데 있다. 업계 안팎에서는 신협ㆍ새마을금고 등이 대출보다 유가증권 투자에 집중하는 데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1월 말 현재 신협과 새마을금고의 예대율은 각각 65.2%, 55.6%에 불과하다. 고금리 이자를 주고 받은 나머지 예금의 상당 부분을 유가증권 등으로 운용한다는 얘기다. 새마을금고연합회는 무분별하게 부채담보부증권(CDO)에 투자했다 손실을 입었고 충북의 한 금고는 원금이 보장되지 않는 주가연계증권(ELS), 주가연계펀드(ELF)의 한도를 초과해 운영하다 지난해 적발됐다. 대출할 곳이 마땅치 않아 여신규정을 위반하는 경우도 있다. 최근 서강ㆍ북대전신협, 대전시산림조합 등이 동일인 여신한도를 어겼다.
이들 기관은 지난해 총 1조5,602억원의 당기순이익(새마을금고 제외)을 냈다며 문제가 없다는 반응이다. 하지만 무리한 자산확장의 부작용은 지금이 아니라 몇 년 뒤에 찾아온다. 저축은행은 부동산 관련 대출로 5년 만에 몸집을 두 배로 늘렸다가 후유증을 앓고 있다. 무엇보다 몸집만 늘리며 상호부조라는 기본속성에서 멀어진다면 상호금융기관으로서의 존재이유가 없어진다는 점을 깨달았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