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북핵문제 핵심 쟁점으로 부각

미국 일각에 의해 핵실험이 임박했다는 의심을 받고 있는 북한에서 원인이 석연찮은 대폭발까지 발생해 의구심이 증폭되고 있는 가운데 민주당 대선 후보인 존 케리 상원의원이 조지 부시 대통령 행정부의 북한핵문제 대처 방식을 정면 비판하고 나서면서 이 문제를 대선 쟁점으로 삼을 의도임을 분명히 했다. 이에 대해 백악관은 케리 후보가 주장한 대북 직접대화 방식의 해법을 "실패한정책의 답습"이라고 일축하고 나서 두 후보 진영간에 이 문제를 둘러싸고 치열한 대치전선이 형성되고 있다. 케리 후보는 13일 뉴욕 타임스에 게재된 인터뷰에서 부시 대통령이 "이라크에정신이 팔린 나머지" 더욱 화급한 북핵 문제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고 이 때문에 "핵의 악몽"이 전개되고 있다고 현 행정부의 대북 정책을 맹비난했다. 케리 후보는 "이것(북핵문제)은 미북 안보에 초래된 가장 심각한 실패이자 도전이며 말만 앞세운 채 실효있는 대책을 마련하지 않은 부시 대통령의 방식을 단적으로 드러낸 사례"라고 지적했다. 뉴욕 타임스는 인터뷰에서 케리 후보가 "그들(부시 행정부)은 북한에서, 아프가니스탄에서, 러시아에서 진정으로 중요한 문제에서 눈을 떼고 이라크로 초점을 옮겼다"고 `분노에 떨리는 목소리로' 말했다고 전했다. 케리 후보는 "부시 행정부는 집권 초기 빌 클린턴 전(前) 대통령 행정부의 대북직접 대화 방식을 계승해야 한다는 콜린 파월 장관의 조건을 거부했고 (햇볕정책을주창한) 김대중 당시 대통령에게 면박을 줘 돌려 보냈다"면서 "이는 북핵 문제와 미국의 진로에 있어 잘못되고 위험한 방향"이라고 주장했다. 부시 행정부는 결국 6자회담이라는 다자간 외교노력의 길로 들어섰지만 이 조차도 "핑계거리"에 불과할 뿐이라고 케리 후보는 풀이했다. 그는 "그들은 그것(6자회담 등 대북 대화 노력)이 효력을 발휘하도록 하지 못했고 회담 테이블에는 실질적인 것을 아무 것도 내놓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만일 대통령이 된다면 북한의 핵무기 실험 위협에 어떻게 대처할 것이냐'는 질문에 케리 후보는 "아마도 이 문제를 유엔으로 가져가야겠지만 이와 같은 가정적인질문은 실제적인 것이 못된다"면서 "이는 예방을 위한 외교의 문제"라고 강조했다. 케리 후보는 부시 대통령이 "이데올리기적인 측면에 이끌려" 진정한 대북대화정책에서 멀어지고 있다면서 이로 인해 "한국과 중국, 일본은 좌절감을 느끼고 있다"고 지적했다. 뉴욕 타임스는 케리 후보의 이런 입장은 그동안 누차 밝혀 왔던 것과 같은 맥락이지만 용어나 어조에서는 종전보다 훨씬 강경하다면서 이와 같은 `선동적'인 어조는 케리 후보 선거진영의 새로운 전략을 반영하고 있다고 풀이했다. 케리 후보 진영은 메시지 전달 방식이 너무 유약하다는 지지층의 비판에 대응해좀더 일관되고 분명한 케리 후보와 부시 대통령간 차이점을 강조할 것이라고 다짐해왔다. 이와 같은 전략에 따라 부통령 후보인 존 에드워즈 상원의원 역시 13일 뉴 멕시코주에서 행한 선거유세에서 북한의 대폭발에 대해 언급하면서 "우리는 북한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알지 못한다"면서 "우리가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조차 모르는 것은 이 정부 때문"이라고 부시 대통령과 딕 체니 부통령을 비난했다. 그러나 부시 대통령 진영은 조금도 물러서지 않았다. 스콧 매클렐런 백악관 대변인은 클린턴 전 대통령 당시 대화정책을 "실패"라고 단정하면서 케리 후보의 주장도 이와 다르지 않다고 반박했다. 매클렐런 대변인은 "케리 후보는 미국이 농락당했던 과거 행정부의 실패한 정책으로 돌아가기를 원하고 있다"며 "우리는 다시는 이런 일을 되풀이하지 않을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뉴욕 = 연합뉴스) 추왕훈 특파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