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산업의 해외 진출을 위해 민관이 함께 팔을 걷고 나섰다. 29일 첫 회의를 열어 본격 가동에 들어간 '국제의료사업 민관협의체'가 시발점이다. 협의체는 일주일 전 '의료 해외진출법'이 공포됨에 따라 '의료한류'를 확산시킬 세부전략 마련을 위해 구성됐다. 이날 회의에서는 한국 의료 시스템의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한 논의가 이뤄졌다.
정부와 민간이 손잡고 글로벌 의료시장 공략에 나서는 것은 올바른 방향이자 환영할 일이다. 의료 분야에서 해외 시장을 뚫는 데는 정부의 적극적인 뒷받침이 긴요하기 때문이다. 의료기관 진출, 의약품 수출이 현실화되기까지는 상대 국가의 인허가 절차, 현지법인 설립, 수주에 필요한 제반과정 등에 짧게는 수년, 길게는 10년 이상 걸린다고 한다.
민관협의체까지 만들어 해외 진출에 공을 들이는 것은 의료시장의 성장잠재력이 크기 때문이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세계 보건의료시장은 연평균 9%의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중동과 중남미·동유럽 지역은 블루오션으로 불릴 만큼 성장 가능성이 무한하다. 무엇보다 중동은 경제력과 고급 의료수요를 바탕으로 핵심시장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지난해에만도 시장 규모가 약 52조원에 달했을 정도다. 우리 하기에 따라 의료산업은 새로운 성장동력이 되기에 충분하다는 얘기다.
의료 선진국 반열에 올라선 우수한 국내 의료 기술력이면 어느 나라에도 경쟁력이 뒤지지 않는다. 종합병원 위탁운영같이 의료상품·서비스가 융복합된 비즈니스 패키지 진출 등 공략방법도 다양하다. 협의체가 첫 테이프를 잘 끊은 만큼 긴밀한 민관 협력을 통해 성공사례가 많이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 해외 진출을 추진하는 의료기관에 금융·세제 혜택을 주는 내용의 의료 해외진출법 제정으로 발판은 이미 마련됐다. 이제 협의체를 중심으로 치밀한 전략을 세운 후 과감하게 시장개척에 나서는 일만 남았다.
정부와 민간이 손잡고 글로벌 의료시장 공략에 나서는 것은 올바른 방향이자 환영할 일이다. 의료 분야에서 해외 시장을 뚫는 데는 정부의 적극적인 뒷받침이 긴요하기 때문이다. 의료기관 진출, 의약품 수출이 현실화되기까지는 상대 국가의 인허가 절차, 현지법인 설립, 수주에 필요한 제반과정 등에 짧게는 수년, 길게는 10년 이상 걸린다고 한다.
민관협의체까지 만들어 해외 진출에 공을 들이는 것은 의료시장의 성장잠재력이 크기 때문이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세계 보건의료시장은 연평균 9%의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중동과 중남미·동유럽 지역은 블루오션으로 불릴 만큼 성장 가능성이 무한하다. 무엇보다 중동은 경제력과 고급 의료수요를 바탕으로 핵심시장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지난해에만도 시장 규모가 약 52조원에 달했을 정도다. 우리 하기에 따라 의료산업은 새로운 성장동력이 되기에 충분하다는 얘기다.
의료 선진국 반열에 올라선 우수한 국내 의료 기술력이면 어느 나라에도 경쟁력이 뒤지지 않는다. 종합병원 위탁운영같이 의료상품·서비스가 융복합된 비즈니스 패키지 진출 등 공략방법도 다양하다. 협의체가 첫 테이프를 잘 끊은 만큼 긴밀한 민관 협력을 통해 성공사례가 많이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 해외 진출을 추진하는 의료기관에 금융·세제 혜택을 주는 내용의 의료 해외진출법 제정으로 발판은 이미 마련됐다. 이제 협의체를 중심으로 치밀한 전략을 세운 후 과감하게 시장개척에 나서는 일만 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