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직장인 몸값 올리기 “현재 업무부터 충실하라”

연봉제 확산과 고용불안이 커지면서 몸값을 올리기 위한 직장인들의 열기가 어느 때보다 뜨겁다. 더욱이 이직이 경력관리의 한 방식으로 자리잡으면서 `자기계발`에 신경을 쓰는 직장인들도 적지 않다. 인터넷 취업포털 잡링크(www.joblink.co.kr)에 따르면 직장인 10명 중 7명이 퇴근 후 자기계발을 위해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빠르게 변화하는 고용환경 속에 `능력 관리`와 `경쟁력 제고`는 올해도 직장인들의 핵심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보통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전략`이라고 하면 자격증을 취득하거나 관련 교육을 받는 등 자기계발을 떠올리지만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현상황에 충실해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업무에 지장을 줄만큼 무리하게 자기계발에 시간을 투자한다면 오히려 역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 먼저 성실한 근태관리를 통해 사내에서 긍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도록 한다. 아무리 업무성과가 좋아도 근태관리가 엉망이라면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없다. 평생직업의 시대에서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이 앞으로도 전문성과 발전성을 갖추고 있는가를 점검해 봐야 한다. 무엇보다 자신이 확신을 가져야 경력관리나 이직에 있어 적극적으로 활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 하고 있는 일이 적성에 맞지 않거나 더 이상의 발전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생각하면서도 안일하게 대처한다면 고용불안이나 자기불만에 시달리기 쉽다. 전직을 통해 더 큰 수확을 얻은 사람도 적지 않음을 알고 도전할 수 있는 과감성도 필요하다. 지금하고 있는 일이 적성에 맞고 만족스럽다면 최고의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회사에서 형성되는 평판은 이직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성과를 수치화해 객관적인 자료로 만들어 놓는 것도 좋다. 이를 위해 일일업무일지나 주간업무일지를 작성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일일업무일지는 다소 귀찮을 수 있으나 쓸데없이 사용되는 시간을 최소화하고 업무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다. 최근 `아침형 인간`이라는 말이 주목을 받고 있다. 아침에 남들보다 조금 일찍 일어나 평소 하지 못했던 일들을 실천하는 것이다. 남들과 똑같아서는 남보다 앞서나갈 수 없다는 사실에는 누구나 공감할 것이다. 꼭 아침형 인간이 될 필요는 없다. 아침형이든 저녁형이든 자신의 스타일과 일정에 맞춰 자신에게 투자할 수 있는 시간을 만들어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된다. 사람도 훌륭한 경쟁력이다. 넓은 인적 네트워크는 다양한 정보를 얻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이직을 위한 좋은 기회를 제공하기도 한다. 업무를 통해 만나는 사람들이나 동호회, 취미활동을 통해 만나게 되는 사람 등 자신과 연계된 모든 인맥을 잘 관리하도록 해야 한다. 지난해 이직에 성공한 윤준철(28세)씨는 “평소 자신을 좋게 평가한 거래처 선배가 근로조건이 좋은 기업에 자신을 추천해 주어 이직에 성공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자격증 취득이나 비교적 안정적인 직장을 보장 받기 위해 고시를 준비하는 직장인들도 적지 않다. 여기서 한가지 유의해야 할 것은 그것이 과연 경쟁력으로서 제대로 된 효과를 발휘 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경력 없는 자격증은 제대로 인정 받기 어렵다. 취득한다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자신의 직무와 전혀 관련 없는 자격증을 취득한다면 취득하기도 어려울 뿐 아니라 활용성도 낮을 수밖에 없다. 고시준비도 크게 다르지 않다. 더욱이 최근에는 고시를 준비하는 사람들이 크게 늘면서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이직의 경우 기업에서 보다 높은 연봉을 제시하거나 면접을 보았다고 해서 바로 사표를 쓰는 것은 금물이다. 이직경력은 플러스 요인이 되기도 하지만 너무 잦은 이직은 마이너스요인이 될 수도 있다. 충분한 시간을 갖고 득과 실을 따져볼 줄 아는 전략가가 되어야 한다. 한현숙 잡링크 사장은 “경쟁시대 속에서 직장인 몸값에 대한 관심은 날이 갈수록 높아지는 추세”라며 “무엇보다 자신의 일에 재미를 느끼고 자신감을 가질 수 있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오철수기자 csoh@sed.co.kr>

관련기사



오철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