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정부 '금강산 인원 자진철수' 고민

"자칫 北에 끌려다니는 인상 줄라" 쉽게 결정못해

정부가 금강산 관광지구 내 남측 인원 철수 여부를 놓고 고민에 빠졌다. 북한이 금강산지구 군 대변인 명의로 지난 3일 금강산 관광지구 내 ‘불필요한’ 남측 인원 철수를 요구해 필수 인원을 제외한 일부 인원의 철수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하지만 남측 인원을 철수시킬 경우 북한에 끌려다닌다는 인상을 준다는 점이 부담으로 작용해 실제 철수결정을 쉽게 하지 못하고 있다. 김호년 통일부 대변인은 4일 금강산 관광지구 내 남측 인원의 자진 철수 가능성과 관련해 “정부는 금강산 관광객 피격 사망 사건과 관련,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해 정책을 추진해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북측에서 추가 철수 요구가 없어도 정부나 현대아산이 자진해서 금강산 체류 남측 인원을 철수할 수도 있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자진 철수 여부를 단언하기보다는 국민의 안전을 고려해 모든 후속 조치가 이뤄지고 있다는 맥락에서 이해하면 된다”고 말해 안전을 고려한 자진 철수 가능성을 내비쳤다. 김 대변인은 그러면서도 북한의 금강산 관광지구 내 남측 인원 철수 요구와 관련해서는 “출입체류에 관한 합의서 조항에 따르면 금강산 지구에 들어간 남측 사람이 범법행위를 하지 않는 한 북측이 일방적으로 추방 요구를 할 만한 권한이 없다”면서 북측의 철수 주장이 근거가 없다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이 같은 언급은 남측 인원 철수요구를 주장한 북측의 주장을 일단 반박하면서도 추가 대응을 지켜본 뒤 최종결정을 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김 대변인은 “북측의 후속 담화나 추가 철수 요구 등이 가시화된 것은 없다”면서 “국내 언론 및 남측 정부의 대책을 지켜보는 것이 아닌가 한다”고 지적했다. 김 대변인은 이어 윤만준 현대아산 사장이 고(故) 정몽헌 회장 추모식 참석차 4일 북한을 방문한 것과 관련해서는 “윤 사장이 (방북시) 금강산 관광 중단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노력하리라 생각한다”며 “정부에서 특별히 메시지를 준 바는 없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