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뉴욕증시> 다우지수 3년만에 최대폭 하락

17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예상 보다 높은인플레이션 지표가 금리 인상에 대한 투자자들의 우려를 심화시키면서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다. 잠정 집계에 따르면 이날 뉴욕 증권거래소(NYSE)에서 블루칩 위주의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날에 비해 214.28 포인트(1.88%) 하락한 11,205.61에서 거래를 마감했다. 다우 지수의 이날 하락폭은 지난 2003년 3월24일 이후 3년2개월여만에 가장 큰하루 하락폭이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도 33.33(1.50%) 포인트 하락한 2,195.80을, 대형주 위주의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500 지수 역시 21.77 포인트(1.68%) 내린 1,270.31을 각각 기록했다. 거래소 거래량은 28억622만주를, 나스닥 거래량은 23억3천768만주를 각각 기록했다. 거래소에서는 상승한 종목이 659개(19%)에 그친 반면 하락한 종목은 2천641개(77%)에 달했고, 나스닥도 상승 874(27%), 하락 2천206개(69%)의 분포를 보였다. 이날 주식시장에서 투자자들은 미국의 지난 4월 소비자 물가지수가 월가의 예상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자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금리인상 행진이 일시 중단될 가능성이 크게 줄어들었다며 실망하는 모습을 보였다. 앞서 미 노동부는 지난 4월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에너지 가격 급등의영향으로 0.6% 상승했고, 에너지와 식품을 제외한 핵심 CPI도 0.3%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CPI가 0.5%, 핵심 CPI가 0.2% 오를 것이라는 월가 애널리스트들의 예상치보다 높은 것으로, FRB가 금리인상 행진을 계속하도록 압박을 가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국제유가가 5주일만에 최저치로 떨어졌음에도 불구, 시장에는 별다른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전날 거래가 마감된 뒤 2ㆍ4 회계분기에 주당 54 센트의 순이익을 냈다고 발표한 휴렛패커드의 주식이 다우 종목 가운데 유일하게 3.41% 상승했다. 월가 애널리스트들은 휴렛패커드의 순이익이 주당 49센트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었다. 세계 최대의 반도체 장비 제조업체인 어플라이드 머티리얼도 월가의 예상치에 부합되는 순이익을 올렸으나 향후 전망을 보수적으로 제시하는 바람에 주가는 4.99%하락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