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정치력 복원 약속 여야 재보선 앞에서 대립

민주, 강용석 성희롱 사건·이재오 선거법 위반 의혹 맹공에<br>한나라 학교공금 횡령혐의 강성종의원 '정치적 협조' 중단

민주당의 국회 정보위원회 간사인 최재성 의원과 신학용·박지원 의원 등이 22일 오전 '영포 게이트'를 다루기 위해 한나라당 의원들의 전원 불참속에 단독으로 국회 정보위 전체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원유헌기자

정치력을 복원해 상생정치를 실현하겠다고 다짐했던 여야가 7·28 재보선을 앞두고 22일 또다시 '강(强)대 강(强)'으로 팽팽히 맞섰다. 이에 따라 정국이 점차 여야 대치국면으로 치닫고 있다. 민주당이 강용석 한나라당 의원의 성희롱 발언의혹과 서울 은평을 지역 재보선에 출마한 이재오 후보의 선거관리법 위반의혹을 연일 부풀리며 맹공을 퍼붓고 있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이 이날 정면으로 맞대응했다. 학교공금 83억원 횡령 혐의로 검찰의 수사를 받고 있는 강성종 민주당 의원에 대한 '정치적 협조'를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검찰의 체포 동의안 제출 자제를 권고했던 방침을 철회하겠다는 것이다. 박지원 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고위정책회의에서 "강용석 의원은 대통령 내외와 여야 여성 의원, 아나운서, 참석한 여자 대학생 등을 총체적으로 성희롱 대상으로 삼아 얘기했다"며 "한나라당이 선거 득실을 따져 국회 윤리특위를 지연시키고 제명 요구에 응하지 않는다면 `성희롱당'이자 `성희롱 집성촌' 이라고밖에 볼 수 없다"고 비판했다. 김무성 한나라당 원내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민주당이 강성종 의원의 구속을 막기 위해 7월에 방탄국회까지 소집했는데 부끄럽지 않느냐"고 말했다. 원희룡 당 사무총장은 최고위 브리핑에서 "민주당이 자신들에게 유리한 사건을 부풀리고, 우리 당에 대한 정략적 공세에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있다"면서 "그간 강성종 의원에 대한 체포동의안을 국회에 제출하지 말도록 검찰에 권고해 오던 우리 당의 비공식적인 입장을 오늘 이후 유지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민주당은 `또 다른 정치보복'이라고 강력히 반발했다. 박기춘 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는 "한나라당이 `강용석 사건'으로 궁지에 몰리고 우리 쪽에 털게 없으니 그것이라도 잡고 `물귀신 작전'으로 가자는 속셈"이라고 비판했다. 박 수석부대표는 이어 "검찰에서 체포동의안을 요구해올 것이라고 믿지 않는다"면서 "검찰에서 만약 체포동의안을 요구해 온다면 이는 또 다른 정치보복"이라고 덧붙였다. 검찰은 강 의원의 횡령액수가 크다고 판단한 만큼 일단 구속영장 청구의 대상이라고 보고 있다. 다만 지난 3월 이후 이달까지 계속해서 임시국회가 열려 구속영장 청구를 하지 못했다. 국회법에 따라 국회 회기 중에 현직 국회의원을 체포, 구속하기 위해선 본회의를 열어 국회의원 3분의 2이상이 체포 동의안에 찬성해야 한다. 민주당이 서울 은평을에 출마한 이재오 한나라당 후보가 선거법을 위반했다며 검찰에 고발한 사건에 따른 공방도 계속됐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이 후보가 전화음성 녹음을 통해 유권자 지지를 호소한 것과 관련, 선거법상 저촉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조해진 대변인은 "이 후보 고발 건을 포함해 최근 민주당이 정치력 복원을 정략적으로 이용한다면 우리도 더 이상 협조할 수는 없다"고 비난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