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증시 반등동력 찾았나…금리 불확실성 완화

지난 2004년 6월 이후 지속돼온 미국의 금리인상 행진이 종결될 가능성이 감지되면서 증시의 반등 동력으로 작용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증시 내부에서는 미국 연방제도이사회(FRB)의 금리 인상폭이 예상대로 0.25%포인트에 그치고 금리관련 불확실성이 해소될 전기를 맞음으로써 반등 랠리가 펼쳐질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그러나 경기 둔화 우려 속에 2.4분기 기업 실적전망이 좋지않은 데다 내외금리차 확대에 따른 콜금리 인상 필요성이 높아진 상태여서 일방적인 낙관은 금물이라는지적도 만만치 않다. ◇미 금리인상 중단 가능성 부각 = FRB가 29일(현지시간) 금리정책 결정기구인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어 또 한차례 금리 인상을 결정하면서 내놓은 성명서 내용 가운데 두가지 표현이 주목받고 있다. 우선 `성장이 완화되고 있을 수도 있다'는 표현이 `성장이 완화되고 있다'로 바뀜으로써 통화정책의 한 축인 경기 둔화에 주목하고 있음을 명시한 대목이다. 또 `추가적인 정책 다지기의 시기와 범위는 인플레이션과 경제성장 전망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고 언급, 추가 금리인상의 여지를 남기긴 했으나 5월 성명서에비해서는 표현의 강도는 완화됐다 동양종금증권 이동수 이코노미스트는 "FRB가 기존의 잠재적 인플레 압력에 높은무게중심을 뒀던 정책 판단에서 벗어나 성장둔화까지 고려하기 시작했다는 점에서중립적인 판단으로 선회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진단했다. ◇반등 동력원 확보 = 일단 미국 통화정책의 긴축 기조가 종결될 가능성이 부각됐다는 점은 오랫동안 글로벌 증시를 짓누르던 큰 악재가 해소됨을 의미하는 것이어서 주가 상승의 기폭제로 작용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한화증권 이종우 리서치센터장은 "증시가 금리 공포에서 해방됐다"라면서 "미국의 경기 둔화 우려가 제기되고 있지만 하반기 연착륙에 성공할 것으로 예상되고 국내 경기도 견조한 기조를 유지하면서 증시의 반등을 이끌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2.4분기 기업 실적이 좋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걸림돌로 작용하지는않을 것"이라면서 코스피지수가 단기적으로 고점 대비 낙폭의 절반 수준인 1,350선까지 1차 반등을 시도할 것으로 내다봤다. 신영증권 이승우 애널리스트는 증시가 본격적인 반전의 계기를 확보한 만큼 한달 가까이 머물렀던 코스피지수 1,200선에서 탈피, 1,300선 회복을 시도할 것으로예상했다. 이 애널리스트는 그러나 경기둔화 우려감이 부각된 상황이어서 회복세는 다소 완만하게 이뤄질 것으로 덧붙였다. ◇경기.유가 우려는 잠복 = 경기 둔화 우려감이 미국의 긴축 통화기조의 변경소지를 높이긴 했지만 경기 둔화 자체와 국제유가의 불안 등은 여전히 잠재 불안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CJ투자증권 박상현 이코노미스트는 "미 FRB의 공격적 금리인상이라는 불확실성에서 벗어나긴 했지만 금융시장내 모든 불확실성이 완전히 해소된 것은 아니다"면서▲미국 경기 둔화 리스크 ▲유가 불안 ▲유럽연합 및 일본의 금리인상 기조 강화 ▲중국의 추가 긴축 리스크 등을 주목 대상으로 꼽았다. 그는 또 "국내적으로는 주택가격 및 물가안정을 위해 추가적인 금리인상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이 부담 요소로 작용할 것"이라고 더붙였다. 키움증권 홍춘욱 투자전략팀장은 "FRB의 태도가 변화하기 시작한 것은 사실이나국제유가마저 다시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부동산시장의 버블 우려가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만큼 8월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가 추가 인상될 것"으로 점치면서 "다만 8월에 금리가 인상되더라도 `마지막 금리인상'이 될 가능성이 높아진 만큼 시장은 안도 랠리가 펼쳐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