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일제가 헐었던 '돈의문' 다시 짓는다

철거 94년만에 원형 복원… 서울 4대문 완성

돈의문 복원 투시도

SetSectionName(); 일제가 헐었던 '돈의문' 다시 짓는다 2013년까지 정동사거리에 원형 복원… "서울 4대문 완성" 이성기기자 sklee@sed.co.kr 돈의문 복원 투시도 ImageView('','GisaImgNum_1','default','260');

지난 1915년 일제에 의해 강제 철거됐던 서울 돈의문(일명 서대문)이 오는 2013년까지 원래 위치인 정동사거리 일대에 원형대로 복원된다. 이에 따라 조선 태조 때 축성됐던 4대문(숭례문ㆍ숙정문ㆍ흥인지문ㆍ돈의문)이 94년 만에 모두 제 모습을 갖추게 된다. 또 아직 복원되지 않은 서울 성곽 2,175m 구간도 복원될 예정이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서울성곽 중장기 종합정비 기본계획’을 21일 발표했다. 시는 4대문 가운데 유일하게 미복원 상태로 남아 있던 돈의문을 1,477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2013년까지 강북삼성병원 앞 정동사거리 일대에 복원하기로 했다. 돈의문은 조선 태조 5년인 1396년 서울 성곽 축조 당시 건립됐다가 임진왜란 때 소실돼 1711년(숙종 37년) 재건됐다. 그러다 조선총독부가 1915년 전차궤도 복선 사업을 이유로 철거했었다. 시는 조선시대 지도와 일제시대 및 현재 지적도, 지표 및 발굴조사,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해 돈의문의 형태나 위치뿐 아니라 지형까지 그대로 복원한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시는 충정로와 새문안길을 잇는 왕복 1차로, 길이 370m의 서대문고가차도를 2011년까지 철거하기로 했다. 아직 복원되지 않은 서울 성곽 전구간과 주변 지역에 대한 정비도 본격화한다. 시는 우선 인왕산 구간 835m, 남산 구간 753m, 동대문운동장 263m 등 총 2,175m를 2013년까지 복원할 예정이다. 이 가운데 단절 구간 도로에는 궤적을 표시해 성곽 형태를 표시하고 흥인지문~이화여대병원, 혜화문~가톨릭대 등 6곳, 182m는 구름다리를 성곽 형태로 만들어 연결해나갈 계획이다. 시는 돈의문과 성곽 복원이 끝나면 서울성곽을 북한산성 및 탕춘대성과 함께 조선왕조 도성 방어 유적으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하는 방안을 추진할 방침이다. 권혁소 서울시 문화국장은 “돈의문이 복원되면 서울 성곽의 핵심 유적인 4대문이 완성된다”며 “광화문과 청계천에 이어 서울의 대표적 상징유적인 서울성곽이 부활하면 전통과 현대가 자연스럽게 어우러진 서울만의 독특한 문화 경쟁력이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