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中 금리인상 여부 "세계가 촉각"

"경기긴축위해 올 최대 0.6%P 올릴 것" 시장 전망<br>中정부선 "아직 결정된 바 없다" 신중한 반응



중국 정부의 경기긴축을 위한 금리인상 여부가 세계 금융시장의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시장에서는 중국의 2ㆍ4분기 성장률이 11.3%로 12년래 최고수준을 기록하는 등 통제되지 않는 ‘성장병’을 고치기 위해 3ㆍ4분기 이후 두 차례에 걸쳐 최대 0.6% 포인트의 금리인상이 유력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 정부는 “아직 금리인상 계획이 없다”고 밝혀 당분간 금리인상을 둘러싼 논란이 계속될 전망이다. ◇금융시장, 금리인상 불가피하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2ㆍ4분기와 상반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11.3%ㆍ10.9%로 각각 12년과 11년래 최고치다. 또 일부에서는 올 전체 성장률이 11%를 넘어설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3월 중국 전국인민대표자대회에서 올해 중국의 성장률을 8%대, 2007~2010년까지는 7.5%선에서 묶겠다고 했던 것과는 3%포인트 이상 차이가 나는 것이다. 중국 정부가 과열투자를 잡기 위해 보다 강경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시장에서는 이미 중국 정부가 연내 금리인상이라는 초강경 조치를 취할 것이라는 것을 기정사실화하고 있는 분위기다. 19일 블룸버그통신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21명의 대상 애널리스트중 90%가 넘는 19명이 “9월30일 이전에 0.25%포인트 이상의 금리인상에 나설 것”이라고 응답했다. 모건스탠리ㆍ뱅크오브아메리카 등 주요 금융기관들은 중국정부가 연말까지 두 차례에 걸쳐 0.5~0.6%포인트 정도 금리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내다봤다. 모건스탠리의 앤디 시에 수석애널리스트는 “효과적인 긴축정책을 위해 예금과 대출분야에서 추가 금리인상이 곧 이루어질 것”이라며 “3ㆍ4분기와 4ㆍ4분기에 각각 0.27% 포인트씩 인상할 것”으로 전망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도 연말까지 0.6% 포인트 이상 금리인상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렇게 될 경우 현재 5.85%인 금리가 9월안에 6% 이상으로 올라가게 된다. ◇중국정부, 금리인상 계획없다= 금리인상 불가피성은 중국 내부에서도 나오고 있다. 국가발전계획위원회 경제연구원의 왕샤광 교수는 “중국의 거시경제가 투자 과열상태에 있다”며 “이제는 정부가 통제에 나서야 할 때”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중국 정부는 여전히 금리인상에 신중하다. 아직 금리인상을 적극적으로 논할 단계가 아니라는 것. 국가통계국의 쩡정핑 대변인은 “여러 차례 단행된 긴축정책이 효과를 거두고 있다”며 “금리인상에 대해서는 아직 결정된 바가 없다”고 말했다. 또 “현재 경제상황은 매우 건강하다”며 “특히 소비자물가지수(CPI)는 매우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서 거론되고 있는 위안화 절상 문제와 관련 쩡 대변인은 “위안화를 가지고 게임을 하려 한다면 결코 이득을 얻지 못할 것”이라며 “위안화를 일회적으로 평가절상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