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활기띠는 M&A 경쟁력 강화로 이어져야

국내 M&A(기업 인수 및 합병)시장이 후끈 달아오르면서 기대와 우려가 엇갈리고 있다. 최근 국내 M&A시장은 국내자본이 주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외국계 투기자본이 시장을 주도하며 국내 우량기업들을 대거 인수한 외환위기직후와는 상황이 크게 다르다. M&A시장에 뛰어든 자본들도 다양하다. 군인공제회 같은 기금은 물론 대그룹을 비롯해 신흥 중견그룹들이 적극 참여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이에 따라 매물로 나온 기업들의 주가가 급등하는 것은 물론 그동안 저평가됐던 국내 기업들의 가치도 크게 뛰어오르고 있다. 특히 공적자금이 투입된 워크아웃 기업들의 경우 일부는 이미 투입원금을 회복해 국민부담이 그만큼 줄어들 전망이다. M&A시장의 활기로 저평가된 기업의 가치가 크게 뛰고 기업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고무적인 일이다. 우량기업이 상대적으로 부실한 동종기업을 인수해 합칠 경우 수직계열화를 이뤄 비용절감과 경쟁력확보로 이어질 수 있는 것이다. 현재 인수자를 물색하고 있는 대우조선해양ㆍ대우건설ㆍ현대건설ㆍ외환은행ㆍLG카드 등의 경우 동종업체가 인수하면 곧바로 국내시장점유율 1위는 물론 세계시장에서의 경쟁력도 그만큼 강화될 수 있다. 또 과거처럼 신규설비를 구축해 덩치를 키우는 것보다는 기존업체를 인수해 합병하는 것이 더 안정적일 뿐만 아니라 비용도 그만큼 적게 들어 국가경제적으로 유익하다. 그러나 M&A시장이 과열돼 머니게임장으로 변질되는 것은 극히 경계해야 한다. M&A는 인수되는 기업이나 인수하는 기업 모두에게 기업가치와 경쟁력을 높이는 지렛대가 돼야지 투기의 대상이 돼서는 곤란하다. 요즘 M&A시장이 활기를 띠다 보니 이를 이용해 일부 투자자들은 기업을 인수할 듯이 주식을 대량으로 매집한 뒤 시세차익을 거두고 빠져나가 결국 소액 주주들과 해당기업에 피해만 주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또 임직원들의 각고의 노력 끝에 이제 겨우 경영정상화를 이뤄 법정관리를 벗어나려는 기업을 흔들어 해당기업이 전전긍긍하고 있다는 얘기도 들린다. 모처럼 활기를 띠고 있는 M&A시장이 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쪽으로 건전하게 발전하도록 감독당국, 투자자 모두의 노력이 요구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