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고용없는 성장' 모든산업 확산

최근 5년간 서비스업 인력감소율 제조업보다 높아


정부가 고용창출의 대안으로 서비스 산업 육성을 표방하고 있지만 지난 5년간 제조업은 물론 대형 서비스 업체들의 일자리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비스업 일자리는 더욱 감소해 ‘고용 없는 성장’이 제조업에서 서비스 산업에 이르기까지 산업 전반에 고착화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21일 서울경제신문이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546개사(신규상장, 퇴출 종목, 회사분할 기업, 회계연도 변경사 제외)를 대상으로 2000년부터 2004년 말까지 임직원 수를 조사한 결과 5년간 서비스 업종의 인력 감소율이 제조업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상장사의 지난해 임직원 수는 총 72만2,335명으로 2000년의 82만1,445명보다 오히려 12.1%나 줄어들었다. 이중 제조업체 임직원 수는 2000년 53만8,235명에서 지난해 말 49만3,473명으로 8.3% 감소한 데 반해 정부가 고용창출의 1순위로 꼽고 있는 서비스 업체의 경우 19만7,909명에서 17만7,602명으로 10.7%나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이번 조사 대상 서비스 업체들이 국내에서 내로라 하는 업체임을 감안하면 부가가치가 높고 고용조건이 우수한 이른바 ‘질 좋은’ 일자리가 줄어들고 있다는 의미가 된다. 서비스 업종별로는 은행간 합병 등의 여파에 시달린 은행ㆍ보험 등 금융 부문이 7.1% 감소한 것을 비롯해 도소매 -16.5%, 숙박 -4.2%, 운수 -8.7% 등 대다수 업종의 인력이 줄었고 성장산업으로 꼽히는 통신서비스 부문도 내수포화로 12.1% 줄어든 것으로 분석됐다. 또 건설업 임직원 수는 이 기간 중 45.8%, 광업은 95.5%나 급감했다. 이 같은 임직원 수 감소 속에서도 이들 상장사의 실적은 크게 호전돼 ‘고용 없는 성장’이 전 산업에 급속도로 확산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상장사의 지난해 매출은 총 503조3,113억원으로 2000년(490조3,610억원)보다 2.6% 늘어났으며 영업이익은 50조8,938억원으로 53.4%나 증가했다. 매출이 소폭 증가에 그친 것은 종합상사와 건설업 매출이 급감한 데 따른 영향으로 분석된다. 서비스 업종의 경우 영업이익 증가율이 더욱 두드러져 2000년 5조3,377억원에서 지난해에는 11조7,243억원으로 두 배 넘게 늘었다. 상장회사협의회의 한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서비스 업체들이 제조업체보다 더 강도 높은 인력 구조조정과 경비절감, 생산성향상운동을 벌이면서 직원 수는 줄고 영업이익은 크게 늘어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나성린 한양대 경제금융학부 교수는 이 같은 서비스업 일자리 감소에 대해 “지식기반산업 등 고부가 서비스업은 국제경쟁력을 갖추지 못한 채 제자리를 맴돌고 있고 도소매 등 내수기반 업종은 경기침체에 시달리고 있다”며 “지금 같은 구조로는 제조업은 물론 서비스 산업을 통한 일자리 창출도 기대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