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상하이 엑스포 한국관 경제효과 7兆"

한국관 방문객 역대 엑스포 최고기록인 725만명 다녀가

우리나라가 상하이 엑스포의 한국관 운영을 통해 거둬들일 경제적 효과가 약 7조원에 달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KOTRA는 31일 상하이 엑스포 폐막에 맞춰 발표한 '상하이 엑스포의 국가브랜드 제고 효과 및 경제적 가치'라는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는 KOTRA가 가톨릭대 시스템 다이나믹스 연구팀의 자문을 받아 9~10월 상하이 엑스포 한국관을 참관한 497명과 비참관자 1,186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다. 보고서는 응답자의 한국산 제품구매 확대 의도 등을 반영했을 때 상하이 엑스포를 통해 얻을 대 중국 수출증대 효과는 향후 3년에 걸쳐 6조3,667억원에 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2009년 대 중 수출액의 6.6%에 해당하는 규모다. 이와 함께 앞으로 3년간 한국을 방문할 중국인이 45만명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으며 이에 따른 관광증대 효과는 6,319억원에 이를 것으로 조사됐다.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들이 구매확대를 희망하는 품목 1위는 휴대전화였고 화장품과 의류, 전자제품, 식품류가 그 뒤를 이었다. 상하이 엑스포는 우리나라의 국가브랜드 제고에도 도움을 준 것으로 조사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관을 방문했거나 한국관 얘기를 전해 들은 중국인들은 한국관에 대해 전혀 모르는 중국인보다 한국의 국가브랜드를 7.28% 더 높게 평가했다. 또 미디어를 통한 홍보효과까지 모두 더해 중국 전체 인구로 환산했을 경우 한국관 운영을 통해 중국에서 한국의 국가브랜드가 1.79% 정도 개선됐을 것으로 분석했다. 조환익 KOTRA 사장은 "이번 상하이 엑스포는 한국을 잘 알지 못하던 중국 내륙지방 사람들에게도 한국을 알린 좋은 기회였다"며 "중국 내륙시장 공략을 위해 내년에 약 7개의 코리아비즈니스센터(KBC)를 신설하는 등 엑스포 효과를 계속 이어가도록 국내기업들과 함께 더욱 적극적인 마케팅을 펼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상하이 엑스포가 진행됐던 지난 184일간 한국관을 찾은 관람객은 총 725만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당초 목표치였던 600만명을 크게 뛰어넘은 것으로 역대 엑스포의 한국관 관람객 기록으로는 최고치다. 지금까지 최고 기록은 2005년 일본 아이치엑스포의 350만명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