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보험사기 건수 작년 43% 폭증

금감원 2만3,607건 적발…금액도 39.6% 늘어

#케이스1:나모씨 등 주부 3명은 골프장 파3홀에서 캐디를 속여 홀컵에 미리 공을 넣어 홀인원을 가장해 보험금을 타내거나 골프장비를 도난당한 것처럼 속여 보험금을 타냈다. #케이스2:김모씨는 지난 4년간 차대번호를 위조해 쌍둥이 차량을 만들어 밀수출과 동시에 도난 보험금을 받다가 최근 적발됐다. 다양한 수법의 신종 보험사기가 발생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13일 지난해 보험사기 적발 건수와 금액은 2만3,607건, 1,802억원으로 지난 2004년에 비해 각각 43.0%, 39.6% 증가했다고 밝혔다. 보험사기 적발 실적이 급증하고 있는 것은 금감원과 보험업계가 부당 누수 보험금을 뿌리뽑기 위해 보험사기 조사를 대폭 강화했기 때문이다. 유형별로는 운전자 바꿔치기가 6,240건(26.4%)으로 가장 많았으며 보험사고 피해과장 4,742건(20.1%), 보험사고 가공 3,686건(15.6%) 순이다. 생ㆍ손보사별 보험사기 적발 건수는 손해보험이 2만1,977건으로 전체의 93.1%를 차지했으며 생명보험은 1,630건으로 전체의 6.9%에 그쳤다. 보험사기 관련자 연령별로 보면 20~29세 연령층이 42.3%를 차지했으며 30~39세가 25.8%, 40~50세가 19.0%를 차지했다. 금감원은 외환위기 이후 청년층의 실업률이 증가하면서 청년층의 보험사기도 꾸준히 늘어난 반면 20세 미만 청소년층의 보험사기는 감소세라고 설명했다. 보험사기 수법으로는 조직폭력배의 보험사고 고의 유발이나 병원의 과잉진료행위, 특정 질병 조작 행위 등이 주류를 이뤘으나 최근 홀인원을 한 것으로 조작해 홀인원보험금을 부당 수령하거나 전문 차량절도단에 의한 절도차량 밀수출 등의 신종 보험사기도 급증하고 있다. 특히 보험설계사나 대리점 등과 연계한 보험사기 적발 건수는 2004년 69건에 그쳤으나 지난해에는 151건으로 늘어나며 118.8%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양왕승 금감원 보험조사실 팀장은 “보험사기 수법이 고도로 지능화ㆍ흉포화되고 있으며 규모면에서도 대형화ㆍ조직화하는 경향이 있다”면서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보험사기 정보를 즉각 입수해 분석작업에 들어가는 등 상시 조사를 활성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