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민경찬 펀드` 수사 제자리 단순사기극 결론 가능성

노무현 대통령의 사돈 민경찬(구속) 씨 수사가 별 성과를 거두지 못하면서 `650억원대 민경찬펀드`가 실체 없는 단순사기극으로 결론지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경찰청 특수수사과는 8일 “압수수색에서 발견된 금융계좌에 대해 조사를 벌였으나 현재까지 큰 돈이 오간 흔적은 없다”고 밝혔다. 민 씨도 경찰에서 진술을 번복하고 있어 세간을 떠들썩하게 했던 대통령 사돈의 거액 유치 의혹이 실체 없는 단순 사기범죄로 일단락될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야권에서 경찰의 부실수사를 지적하고 있어 앞으로 검찰수사에서 새로운 사실이 드러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단순 사기극인가=경찰은 지난 4일 민 씨를 긴급체포하고 이날 서울 서초동 민씨의 사무실과 경기도 수원 아파트 등 5곳을 압수수색 했다. 경찰은 장부와 서류, 컴퓨터 본체 등을 확보하고 계좌추적은 물론 민 씨의 일기장에서 나온 인물 등 모두 6명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했지만 펀드모집과 관련한 내용은 일절 밝혀내지 못했다. 경찰은 민 씨가 짓지도 않은 이천중앙병원 식당운영권을 주겠다고 속여 5억여원을 박모(50ㆍ부동산업자) 씨로부터 받아 가로챈 혐의만을 밝혀 냈을 뿐 그 뒤 수사는 전혀 진척되지 못하고 있다. 시사주간지 인터뷰를 통해 펀드의 존재를 세상에 알렸던 민 씨는 막상 경찰에서는 진술을 번복, 수사를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민 씨는 “기자 앞에서 과시욕에 충동적으로 `650억원을 모금했다`고 말했다”며 “상상외로 파장이 일자 겁이 나고 당황해 거짓으로 일관했지만 653억원을 모금한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민 씨의 말대로라면 세간을 떠들썩하게 했던 `민경찬 펀드`는 민 씨가 지어낸 허구에 불과한 셈이다. ◇수사과제는 남아=경찰 수사팀도 민 씨가 투자자 신원 보호를 위해 의도적으로 사실을 은폐하고 있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검찰 송치 전까지 최선을 다하고 있다. 경찰은 민 씨의 메모와 통화기록 등을 근거로 매일 10여명씩 참고인 조사를 벌이고 있다. 또 민 씨 스스로 `투자금은 통업자들의 여러 계좌에 있다`고 말한 만큼 민 씨 사무실과 자택 등에서 나온 30여개 계좌에 대한 추적작업도 병행하고 있다. 그러나 청와대 하명수사를 벌이고 있는 경찰청 특수수사과의 한계상 경찰수사가 세간의 의혹을 잠재우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또 경찰의 계좌추적이 금융 전문가가 아닌 일선 수사관들에 의해 이뤄지고 있는 점도 논란거리가 되고 있다. 한나라당을 비롯한 야권은 벌써부터 경찰이 민 씨사건을 축소은폐하고 있다고 비난의 수위를 높여가고 있다. 이에 따라 이번 주말경 경찰에서 수사기록을 건네 받게 되는 검찰이 추가수사를 통해 새로운 사실을 밝혀낼 수 있을 지에 관심이 집중될 전망이다. <김호정기자 gadgety@sed.co.kr>

관련기사



김호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