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계원로] "대우처리 지연땐 제2기아사태 올것"

경제계 원로들은 대우그룹 처리가 더 늦어질 경우 「제2의 기아사태」를 초래할 것이라며 정부와 채권단·대우의 공동대책 마련을 촉구했다.22일 제주 호텔신라에서 열린 전국경제인연합회 최고경영자 세미나 「원로와의 대화」에 참석한 이승윤(李承潤) 전부총리겸 경제기획원 장관은 『지난 97년 기아자동차가 부실화했을 때 정치논리까지 개입, 지나치게 시간을 끌면서 국제통화기금(IMF) 사태를 초래한 결정적 원인이 됐다』며『대우그룹 처리방향에 대해 정부·채권단·대우가 하루 빨리 세부 해결방향을 마련하고 시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李전부총리는 『미국의 경우 주택대부조합(S&L)이나 롱텀캐피털(LTCM) 등 금융기관이 부실화됐을 때 정부와 업계가 해결방안을 신속하게 수립하고 대규모 재정을 투입, 큰 파장없이 문제를 해결했다』며 『우리나라도 이를 참고해야한다』고 강조했다. 김준성(金埈成·이수화학 회장) 전부총리겸 경제기획원장관은 『대우그룹의 자동차·전자·조선분야는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기업이기 때문에 해외매각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그러나 金전부총리는 『올 12월말까지로 매각시한이 잡혀있어 매각협상에서 불리한 요소로 작용할 수 밖에 없다』며 『정부가 대우의 매각의지를 확인한다면 매각시한에 연연하기보다는 다소 시간을 두고 처리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신현확 전국무총리는 『「세계화」의 목소리가 높지만 하루 평균 1조5,000억달러라는 엄청난 금융이 국경을 넘나드는 등 여기서 파생되는 문제도 많은 게 사실』이라며『정부는 개방화시대에 세계화의 부작용을 어떻게 막을 수 있을지를 고민하고 적극적으로 대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수창 전대한상의 회장은『60년대 말 영국의 「이코노미스트」지는 한국이 자본주의와 시장경제에 맞는「사회적규범」 「경제적규범」만 갖춘다면 30년 후 일본경제를 따라잡을 수 있다고 피력했었다』며 『21세기를 눈앞에 둔 지금까지도 우리 사회가 「법과 사회적 질서에 의해 움직이는 사회」 「합리적인 기준에 따라 이뤄지는 경제」를 이뤘다고 말할 수 없다』고 현실을 진단했다. /손동영 기자 SONO@SED.CO.KR

관련기사



손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