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현대차 비상경영체제 어떻게 하나

김동진 총괄부회장 중심 당분간 일상업무만 처리

‘총수 공백’이 현실화된 27일 그룹 수뇌부들은 정상 경영의 일손을 놓은 채 긴급 대책회의를 잇달아 갖고 김동진 총괄부회장 등을 중심으로 한 비상경영 체제에 들어갔다. 그룹의 한 관계자는 “비상경영 체제를 가동해도 사실상 그룹의 모든 의사결정을 주도해온 정몽구 회장의 빈자리를 메우기에는 역부족일 것”이라며 “당분간 신규사업은 중단한 채 현대ㆍ기아차의 각 사업본부 및 계열사 대표를 중심으로 일상적인 업무만 처리하는 ‘한시체제’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현대차그룹은 하지만 대외적으로는 “비상경영체제를 가동하지 않을 것”이라며 “당분간 사태추이를 지켜보면서 각자 맡은 바 업무를 충실히 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총수 공백이라는 초유의 사태를 맞아 내부적으로 큰 혼란에 빠져든 만큼 이를 수습하자면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이라는 관측도 흘러나오고 있다. 따라서 당분간 그룹 안팎의 위기상황을 수습하는 데 주력하면서 일부 전문경영인들이 회사 현안을 챙기는 과도체제가 상당 기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밖에 인사시스템의 개편이나 전문경영인의 전면 배치 등 ‘쇄신책’의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그룹 관계자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문제가 된 부분을 깨끗하게 정리하고 넘어가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된 상태”라며 “이미 인사시스템 전반을 개혁하기 위한 작업에 들어갔으며 조만간 구체안이 나오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룹의 다른 관계자는 “상대적으로 보수적이라는 평가를 받아온 기업문화를 좀더 개방적으로 바꿔 상하간 언로를 틔우고 대외적으로도 보다 투명한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는 대책들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