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서울대 교수들 돈 받고 연구 안한다

교육부가 서울대 대학원을 육성하기 위해 막대한 연구비를 지원했음에도 교수들의 연구업적이 오히려 떨어져 「밑빠진 독에 물붓기」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교육부는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포항공대, 한양대 등 5개대의 이공계 대학원을 선정해 지난 95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국고 880억원과 대학측의 대응투자 1,805억원을 투입해 추진해온 「이공계 대학원 중점육성사업」 평가 결과를 16일 발표했다. 5년간 국고 지원액은 서울대 자연과학대 204억원, 연세대 이과대학 182억원, 포항공대 환경과학부 178억원, 한양대 신소재공정공학원 162억원, 고려대 생명공학원 152억원 등이다. 이같은 지원에도 불구하고 서울대 자연과학대 교수들의 총연구논문수는 지난 95년 801편에서 지난해 722편으로 9.9%, 교수 1명당 논문수는 5.1편에서 4.1편으로 19.6% 되레 감소했다 반면 다른 대학의 교수 1명당 논문수는 한양대가 3편에서 13편으로 333.3% 늘어난 것을 비롯해 포항공대 8.3→23편(177.1%), 고려대 3.8→5.8편(52.6%), 연세대 3.1편에서 4편(29%)으로 각각 증가했다. 연구물의 질적수준을 나타내는 국제과학논문인용색인(SCI) 게재 논문수도 교수 1명당 서울대는 지난 5년간 2.1편에서 2.4편으로 14.3% 늘어나는데 그친 반면 다른 대학은 82.4∼333.3%나 늘어 대조를 보였다. 한편 서울대 자연과학대는 전체 교수 176명 중 160명이 지난해 교육부가 추진한 「두뇌한국(BK)21」 사업에도 뽑혀 앞으로 2005년까지 엄청난 지원을 또 받게 돼 연구성과에 비해 지나친 지원이 아니냐는 지적이 일고 있다. 최석영기자SYCHOI@SED.CO.KR 입력시간 2000/03/16 17:22

관련기사



최석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