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은행권 비정규직 비율 30% 육박

매년 증가세… 연봉 대부분 2천만원 안팎

국내 은행들의 비정규직 사원 비율이 30%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외환위기 이후 은행들이 비용절감과 손쉬운 구조조정을 위해 정규직보다는 임시직 충원을 더 늘리고 있기 때문으로, 이에 따라 비정규직 차별 등 부작용도 심화되고 있다. 또 대부분의 은행들은 비정규직 사원들에게 연간 2천만원 이하의 급여를 지급하는 것으로 나타나 정규직과의 차별이 지나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특히 최근 기업은행이 비정규직 직원을 해고했다가 부당해고 소송을 당해 패소하는 등 앞으로도 은행의 비정규직 문제는 계속 논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비정규직 3년여만에 34% 급증 25일 금융감독원 자료에 따르면 올상반기말 현재 시중은행, 지방은행, 특수은행등 국내 은행의 임직원은 모두 12만3천666명으로 이 가운데 비정규직이 3만5천701명으로 전체의 28.9%에 달했다. 이는 지난 2001년말 총임직원(11만5천812명) 가운데 비정규직(2만6천614명)이 차지한 비율 23%보다 훨씬 높아진 것이다. 전체 임직원수는 최근 3년여동안 거의 늘지 않은데 비해 비정규직 사원은 무려34%나 급증한 셈이다. 특히 전체 임직원 가운데 일반직원의 경우 지난 2001년말 8만7천242명에서 올상반기말에는 8만6천527명으로 오히려 줄어들었다. 시중은행 가운데서는 국민은행의 비정규직 비율이 올상반기말 현재 35.9%로 가장 높았으며 한국씨티도 31.8%로 30%를 넘었다. 가장 비정규직 비율이 낮은 시중은행은 22.5%를 기록한 조흥은행이었다. 한 시중은행 노동조합 관계자는 "은행들은 지난해 금융노조와의 임단협에서 비정규직 비율을 계속 줄이기로 약속했다"며 "그러나 이 같은 약속은 지켜지지 않고있다"고 비난했다. ◇"환란 이후 차별심화" 노동계에서는 90년대말 외환위기 이후 비정규직 문제가 심화된 대표적인 업종가운데 하나가 금융업이라고 주장한다. 실제로 전국은행연합회에 따르면 국내 은행에서 근무중인 비정규직 사원의 연간총급여는 대체로 1천500만~2천만원 수준에서 결정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문별로는 전문텔러의 경우 비정규직 1인당 급여수준 파악이 가능한 14개 은행 가운데 가장 많은 곳이 대구은행으로 평균 2천400만원이었으며, 전체 은행의 절반은 2천만원을 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무직은 2천만원을 넘는 은행이 4곳에 그쳤으며, 특히 농협은 1천190만원에 불과했고 콜센터, 파견, 용역직은 대부분이 2천만원 미만의 연봉을 비정규직에게 지급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금감원 분기보고서에서 나타난 은행권 평균 급여가 최고 5천200만원에 달한 것과 대비되는 것이다. 이밖에 복리후생에서도 계약직 사원의 경우 대부분 정규직과 같은 대우를 받고있었으나 파트타임이나 일용직, 파견직원, 용역직원 등은 이 같은 혜택을 거의 누리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일부 은행들이 비정규직에 대한 부당한 해고와 연월차 지급 거부 등의 횡포를 부리고 있어 노동계의 반발을 사고 있다. 한국노총 산하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은 현재 우리은행과 SC제일은행을 대상으로 비정규직 부당해고와 관련한 행정소송을 진행중이라고 밝혔다. 금융노조 비정규직지부 권혜영 위원장은 "은행들이 사상초유의 이익을 내면서도 비정규직에 대해서는 기본적인 근로기준법조차 지키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 "환란이후 차별이 더 심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