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美 오리건대 연구팀, 배아줄기세포 복제 최초로 성공

황우석 박사 논문조작 후 9년만

미국 연구팀이 다양한 조직으로 분화하는 배아줄기세포(배성간세포ㆍES세포)를 만드는 데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는 소식이다.

오리건건강과학대학의 다치바나 마사히토(立花眞仁) 연구원을 비롯한 연구팀은 셀에 기고한 논문을 통해 성인 여성에서 기증받은 난자에 다른 사람 피부세포의 핵을 넣은 ‘체세포 인간복제 기술’을 사용해 이 같은 배성간세포를 만들어냈다고 밝혔다.


인간복제 배아줄기세포를 놓고선 서울대 수의대의 황우석 전 교수가 이끈 줄기세포 연구팀이 2004년 제작에 성공했다고 발표했지만 나중에 조작된 것으로 판명 났다.

재생 의료를 실현할 수 있는 인간복제 배아줄기세포에 대한 연구는 2006년께 유도만능줄기(iPS)세포가 등장하면서 열기가 식었다.


다치바나 연구원은 “이번에 만든 배아줄기세포는 iPS세포보다 유전적 결함이 적을 가능성이 크다”고 소개했다.

관련기사



연구팀은 환자의 체세포를 이용하면 유전자가 같아 이식 때 거부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치료용 조직을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논문에 따르면 연구팀은 미국에 거주하는 23~31세 여성 9명이 기증한 난자 126개를 사용했으며 대학윤리위원회의 연구 승인을 받았다.

배아줄기세포는 126개 난자 가운데 6개에서 성공적으로 생성됐으며 이들 난자 중 4개는 한 여성이 제공한 것이라고 논문은 전했다.

오리건대 연구팀은 지난 2007년 원숭이 난자를 이용해 복제 배아줄기세포를 만들어 내기도 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