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潘외교 "유엔의 한국지원 보답위해 출마"

반 장관, 카타르 알-자지라TV 인터뷰

반기문(潘基文) 외교통상부 장관은 24일 카타르의 알-자지라 TV와 인터뷰를 갖고 유엔 사무총장 출마 동기와 비전, 북핵6자회담, 한-중동 관계, 한일관계 등에 대해 견해를 피력했다. 알-자지라 TV는 총 26분의 인터뷰에서 10분을 유엔 사무총장 출마와 관련된 질문에 집중해 눈길을 끌었다. 반 장관은 인터뷰에서 "한국 정부는 유엔의 원조로 설립됐고 국제사회가 한국의자유수호를 도왔으며 한국전쟁후 재건과정에서 유엔 원조에 상당한 빚을 지고 있다"고 말하고 "그런 점에서 외교관으로서 (유엔 근무과정에서) 갖춰진 서비스능력과 경험으로 유엔에 보답하기위해 차기 사무총장에 나서게 됐다"고 출마동기를 밝혔다. 그는 이어 "유엔은 회원국 공통의 관심사와 의지를 실행하는 중추적인 기관이되어야 한다"면서 "사무총장에 당선되면 유엔이 그런 필요에 적합한 기관이 되도록하는데 우선순위를 두겠다"고 말했다. 그는 `유엔 사무총장이 중재자와 관리자 가운데 어떤 일에 치중해야 하느냐'는질문에 "절대적으로 두 가지를 다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사무총장은 그 시대가필요로 하는 일과 회원국의 의무와 책임을 조정하는 일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반 장관은 자이툰 부대에 관한 질문에 "이라크의 신속한 평화 정책과 재건지원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동참하고 유엔 회원국으로서 유엔 결의안을 통한 국제사회의 요청에 부응하려는 게 파병의 취지"라고 설명했다. 그는 "자이툰 부대는 이라크 민사작전 및 재건, 군.경찰 교육훈련, 이라크 지원단 연락사무소(UNAMI) 보호 지원 등을 중점적으로 수행중"이라면서 "향후 개설될 UNAMI 지역사무소의 외곽 보호 및 호송 경호도 지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반 장관은 한-중동 관계에 대해 "양측은 대가족 제도, 손님접대, 어른 공경 등의 미풍양속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여러 공통점이 있다"며 "정치, 경제, 사회,문화 등 포괄적인 분야에서 상호 이해를 높이기 위해 한-중동 협력포럼이 2003년부터 매년 개최되고 있다"고 소개했다. 북핵 6자회담과 관련, 반 장관은 "북한이 마카오 소재 방코델타아시아(BDA) 사건 해결과 북핵문제 논의를 연계함에 따라 차기 회담 재개가 지연되는 등 교착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북한은 회담 재개를 위해 BDA문제가 선결되어야 하며 동결된 예금을 되찾기 전에는 회담 복귀가 불가하다는 입장이고 미국은 북핵문제를 평화적, 외교적으로해결하는 노력을 계속하되 불법행위 문제 등과 관련한 방어적 조치는 6자회담과는무관한 국익 보호 및 법집행 차원의 문제여서 별개라는 입장"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향후 대응 방향에 대해 "북핵문제는 핵폐기 과정 자체가 복잡한 이행합의를 필요로 하고 주요 관련국들간의 상호 불신 해소 및 한반도 냉전구조 해체 등과도관련된 포괄적 사안으로 관련국들과 심층적인 협의와 협상이 있어야 한다"면서 "한국 정부는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해가면서 회담 재개와 실질적 진전을 위한 노력을관련국들과 차분하게 경주해 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반 장관은 주한 미군과 관련, "1953년 체결된 한미상호방위조약을 토대로 탄생하게 됐으며 지난 반세기동안 한반도에서의 전쟁억지와 동북아 지역의 안정과 평화유지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해왔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어 "한미 양국은 한반도 및 국제안보환경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주한미군의 재조정을 추진하고 있으나 주한미군이 한반도 방위를 주임무로 한다는 기본 전제에는 변화가 없다"고 밝혔다. 반 장관은 한일관계에 언급, "일본 지도자들의 야스쿠니(靖國) 신사참배 강행과일본 정부의 역사교과서 왜곡, 독도에 대한 부당한 영유권 주장 등으로 한일관계가경색되고 있다"면서 "일본이 역사문제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수립해 한일관계 개선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특히 독도 문제는 단순한 영유권의 문제가 아닌 잘못된 역사의 청산과 완전한 주권확립에 관련된 문제임을 상기시키고 "1904년 제국주의 침략과정에서 독도를 병탄했던 일본이 그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는 것은 한국의 해방과 독립을 부정하는 행위"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