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화학硏, 고효율 태양전지 제조 플랫폼 기술 개발

한국화학연구원은 석상일 박사팀이 기존 태양전지보다 효율 및 내구성이 대폭 향상된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이종접합 태양전지 제조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팀은 무기물로 구성된 나노구조의 광전극에 용액공정을 이용한 결정성 무·유기 하이브리드 소재를 광흡수체로 충진하고, 상부에 용액공정을 이용한 홀전도성 공액 고분자를 도입하는 매우 단순한 공정을 이용했다. 이를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인 효율 12% 이상의 효율을 구현한 태양전지를 제조했다.


기존 태양전지에 비해 화학적으로 쉽게 합성할 수 있는 저가의 소재를 사용하고, 그 소재를 유기용매에 용해해 코팅하는 경제적이고 단순한 공정을 통해 제조단가가 낮아진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관련기사



석상일 박사는 “태양전지 제조의 핵심인 소재·구조·공정에서의 장점을 유기적으로 결합해 고효율ㆍ저가ㆍ고내구성을 구현했다”면서 “향후 제조공정의 최적화에 따라 15% 이상 효율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네이처 포토닉스지 온라인판 5월 5일자에 게재됐다.



구본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