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엔저 최대 피해자는 한국

블룸버그 "차·조선·전자업계 큰 타격"

일본 아베 신조 정권이 펴고 있는 대규모 양적완화와 엔저 정책의 최대 피해자는 한국이라는 분석이 쏟아지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크레디트스위스와 HSBC 등의 보고서를 인용해 엔화 가치 하락으로 일본과 산업 구조가 한국은 수출 경쟁력이 떨어진 반면 인도네시아ㆍ말레이시아ㆍ태국 등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투자 자금이 몰리면서 수혜를 보게 됐다고 20일 보도했다. 특히 보고서는 글로벌 시장에서 일본 업체들과 경쟁 관계에 있는 한국의 자동차ㆍ조선ㆍ전자 업체들이 엔화 약세와 원화 강세로 인해 큰 피해를 볼 것으로 예상했다.


일본 정부의 엔저 기조에 따라 지난 18일 엔화는 달러화 대비 90.1엔으로 마감해 아베 총리가 엔저 발언을 쏟아냈던 지난해 11월 중순 이후 10% 이상 떨어졌다. 반면 같은 기간 동안 엔화 대비 원화 가치는 12% 이상 올랐다.

관련기사



반면 동남아 국가들은 반사이익을 볼 것으로 전망됐다.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를 둘러싼 중일 간 영토 분쟁으로 일본 기업들이 반일감정이 고조된 중국을 떠나 동남아 국가들로 몰려가고 있는 마당에 아베의 공격적인 금융완화로 돈이 대거 풀리면서 동남아 투자가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이미 지난해 11월 닛산 자동차가 태국 제2공장 건설을 위해 3억7,000만달러를 투자하기로 했으며 도요타 자동차도 같은 달 인도네시아 투자를 확대해 자동차 생산 능력을 두 배로 늘리고 엔진 공장을 새로 건설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11월까지 동남아 국가들에 대한 일본의 수출은 16.2%를 차지해 전년에 비해 1.3%포인트 증가했다.

한편 일본은행(BOJ) 고위관계자에 따르면 BOJ는 21~22일 양일간 열리는 통화정책회의에서 아베 총리의 요구대로 물가상승률 목표치를 현재 1%에서 2%로 높일 것으로 보인다.


고병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