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서울시 반부패지수 발표] 강남구 건설공무원 최하위

서울시는 최근 1년간 5대 민원업무를 이용했던 시민들을 상대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점수화한 「반부패 체감도」와 직원교육, 정보공개현황 등 민원관련 47개 부서의 「반부패노력도」를 평가해 합산한 반부패(청렴도)지수 평가 결과를 4일 공개했다. 반부패지수는 시가 설문항목 등 지수 체계를 개발해 한국갤럽에 조사를 의뢰해 이번에 첫 평가가 실시됐다.조사결과 반부패지수는 100점 만점에 평균 74.8점으로 건설공사(71.4점), 주택. 건축(72.9점), 세무(73.8점), 위생(75.7점), 소방(80.4점)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민원인들이 느낀 반부패 체감도는 100점 만점에 평균 64점에 불과했으며 분야별로는 건설공사가 58.7점이었고 이어 주택·건축(60.8점), 세무(63.6점), 위생(67.5점), 소방(69.5점) 순이었다. 특히 조사에 응한 8,789명중 최근 1년간 담당 공무원에게 금품이나 향응을 제공했다는 응답자가 전체의 8%인 698명에 달해 공무원들의 「부패의식」이 좀처럼 사라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원분야별 금품·향응 제공사례는 건설공사 21.0% 주택·건축 12.5% 소방 6.2% 위생 5.3% 세무 4.3% 등이었다. 금품·향응 제공 규모가 50만원 이상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건설공사 분야 25.3%, 주택·건축 13.7%, 위생 9.6%, 세무 8.1%, 소방 4.1% 등으로 조사돼 건설공사 분야의 비리가 여전히 심각했다. 비리 증감과 관련해 「늘었다」는 응답이 분야별로 3.8∼5.4%에 불과한 반면 「줄었다」는 응답은 48.7∼62.3% 로 나타나 민원처리온라인공개시스템 등 각종 부패방지노력의 효과가 가시화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각 민원부서의 제도개선, 규제정비, 정보공개노력 등을 평가한 반부패노력도는 100점 만점에 평균 90.2점으로 분야별로는 위생(87.4점), 세무(88.3점), 건설공사(89.5점), 주택.건축(90점), 소방(95.8점) 순이었다. 구청별 반부패지수로 볼 때 성동·동대문구가 3개 분야에서 상위권을 차지한 반면 강남구는 소방 분야를 제외한 4개 분야에서 하위권으로 나타나 구청별로 공무원들의 근무자세도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