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홍준표 연일 '국민공모주' 띄우기

매각 지지부진한 우리금융ㆍ대우조선해양에 서민친화적인 돌파구 찾기 위함


당 안팎 반발 심해 실제 도입은 미지수 홍준표 한나라당 대표가 연일 국민공모주(국민주) 띄우기에 나서고 있다. 홍 대표는 20일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ㆍ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 “우리금융지주와 대우해양조선을 국민공모주 방식으로 국민에게 돌려줄 것을 요청한다”면서 “공적 자금으로 살린 기업의 정부 지분을 특정 대기업에 매각하는 것보다 국민에게 돌려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홍 대표는 “(현재 매입의사를 밝힌)사모 펀드에 매각하면 특정 펀드 배만 불리는 제2의 론스타 사태가 올 수 있다”면서 “1988년 포스코 주식을 국민에게 매각할 때 63.5%, 한국전력은 43.5% 할인해서 서민들에게 좋은 재산증식 기회를 줬다”고 소개했다. 홍 대표는 이어 “당 정책위와 청와대 정책실장이 협의해 제2의 론스타 사태가 일어나지 않도록 해달라”고 당부했다. 홍 대표의 ‘국민주 띄우기’는 공적자금이 투입됐지만 매각이 지지부진한 우리금융지주와 대우조선해양의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서다. ‘국민주’라는 이름 자체부터 서민친화적으로 가려는 당의 입장과도 맞아떨어진다. 현재 일부 사모펀드만 매각에 관심을 보여 제2의 론스타 사태를 우려한 때문이기도 하다. 특히 당 대표의 공식발언으로 나오면서 청와대나 금융당국에서도 일부 긍정적인 기류가 있는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당내에선 반대가 크다. 한국개발연구원(KDI)출신인 유승민 위원은 “우리금융지주와 대우조선해양이 공적자금과 무관하지 않는 데 경영권을 갖는 지배대주주가 나타나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면서 “부분적인 국민주 도입은 찬성하지만 지난 정부에서도 못했던 것을 한나라당이 강제할 수 없다”고 못박았다. 이 문제를 다루는 국회 정무위의 한나라당 간사인 이성헌 의원도 “국민주로 할 지 블록세일로 할지는 시장이 결정하는 것이지 당에서 나서서 이래라 저래라 할 수 없다”고 지적했고 나성린 의원은 “국민주는 너무 많은 수로 분산되므로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나라당 비전위원회 경제분과에 참여한 윤창현 서울시립대 교수는 “최근엔 주가가 안정적으로 오르기 힘든데 국민에게 싸게 주고 나중에 주가가 떨어져서 공적자금을 투입한 회사가 잘 안되면 결국은 이것까지 국민 부담이다”라고 지적했다. 지난 13일 당청회동에서도 홍 대표가 국민주 방식을 제기했지만 이명박 대통령은 “포스코와 우리금융의 성격이 다르다“면서 에둘러 부정적인 입장을 표했다고 한다. 민주당은 원론에서 찬성하면서도 이 시점에 제기한 의도를 문제삼았다. 정무위 민주당 간사인 우제창 의원은 “대우조선해양은 로비 문제부터 정리해야 한다”고 했고 민주당 경제민주화특위 위원장인 유종일 KDI국제정책대학원 교수는 “검토 가능한 대안 가운데 하나지만 왜 갑자기 홍준표 대표가 꺼냈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다만 정무위 소속의 박선숙 의원은 “방안으로 검토해 볼만 하다“면서 “공적자금특별법이 원칙으로 밝힌 ‘최대한 공적자금을 회수’를 개정해야 한다. 국민주 공모 방식으로 가면 최대한 싸게 팔 수밖에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국민주 공모로 매각되면 그 지분이 나중에 외국자본으로 흘러갈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방지책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