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혁신도시는'그대로'

대운하 프로젝트 맞물린 일부 지역은 조정 불가피

공공기관을 지방으로 옮기는 ‘혁신도시’가 한반도 대운하 프로젝트에 맞춰 추진지역과 일정이 일부 조정될 전망이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한 관계자는 24일 “공공기관을 지방으로 이전하는 혁신도시는 새 정부에서도 그대로 추진된다”며 “다만 한반도 대운하 프로젝트와 광역경제권과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일부 조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최경환 간사 등 경제2분과 인수위원들은 25일 경북 김천 등 혁신도시를 현장방문해 혁신도시 추진현황 및 절차에 관한 보고를 받을 예정이다. 혁신도시는 참여정부가 행정중심복합도시(세종시), 기업도시와 함께 추진했던 3대 지방균형발전정책으로 지방의 특성에 맞게 공공기관을 이전하고 이를 통해 기업과 대학ㆍ연구소ㆍ지방자치단체가 유기적으로 협력해 지역의 잠재력을 극대화하겠다는 목표 아래 진행돼왔다. 혁신도시는 부산, 대구, 울산, 원주, 진천ㆍ음성, 김천, 진주, 나주, 전주, 서귀포 등에 만들어지며 대한주택공사ㆍ한국토지공사 등이 선도기관으로 오는 2010년부터 이전을 시작하고 2012년에 175개 공공기관이 옮길 예정이다. 하지만 세종시가 충청권과 연계해 광역개발되고 기업도시가 새 정부의 ‘광역경제권’으로 전환된 데 이어 혁신도시까지 한반도 대운하 프로젝트와 맞물려 재조정이 불가피해 지방이전 일정에 차질이 예상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