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외국자금 썰물땐 국지적 금융위기…한국도 안심못해

S&P도 은행권 대외채무 경고

달러 약세가 전세계 인플레이션 압력을 높이고 이로 인해 각국 중앙은행의 긴축정책이 전개될 경우 신흥시장으로 들어간 자금이 썰물처럼 빠져나가면서 국지적인 금융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는 남의 나라 얘기가 아니다. 국제 신용평가기관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최근 우리나라의 국가신용등급을 ‘A’로 유지하면서 은행권의 대외채무에 대해 경고음을 보냈다. 한국이 은행들의 대외채무 급증으로 아시아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순채무 국가로 전환할 수 있고 이런 위험이 정부 지원이 필요할 정도로 커지면 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이에 대해 외환당국은 수출업체의 수출대금 선물환, 금융권의 차익거래용 외화 차입 등으로 외채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아직까지 위기를 걱정할 만큼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는 판단이다. 그러나 외채가 늘면 우리나라의 대외지급 능력이 떨어지고 환율 하락으로 기업 경쟁력이 낮아지는 등 향후 우리 경제의 발목을 잡을 수 있어 위험도의 크기가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다. 1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우리나라의 대외채무는 3,111억달러로 3월 말에 비해 256억달러 증가했다. 이중 은행권 대외채무는 147억달러 늘어난 1,960억달러로 전체의 54.3%를 차지했다. 특히 은행권 외채는 지난해 말(1,369억달러)보다 23%가, 2005년 말(834억달러)에 비해서는 두 배 이상 급증한 수준이다. 또 전체 대외채무 중 단기채무 비중이 6월 말 현재 1,379억달러로 44.3%에 이르고 있다. 이는 수출업체들이 수출대금으로 받은 달러를 은행에 선물환으로 매도한데다 외은지점과 시중은행이 국내외 금리 및 환율 차이를 이용한 자본이익을 위해 외화차입을 크게 늘렸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한국은행의 한 관계자는 “조선 등 중공업체의 선물환을 매입한 은행들이 외화차입을 늘렸고 국내 금융권의 해외 주식과 펀드 투자도 증가했다”면서도 “대외채무의 증가 속도가 빠르지만 아직 위험한 수준은 아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