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소비회복 영향 '총저축' 25년만에 감소

지난해 소비지출이 회복되면서 `총저축액'이 25년만에 처음으로 감소했다. 국민계정 통계상에 `총저축'은 국민총처분가능소득에서 민간과 정부의 소비지출을 차감한으로, 투자재원으로 활용된다. 2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은 803조3천억원이었으며 이가운데 67.0%인 538조4천억원이 소비지출되고 나머지 33.0%인 264조9천억원이 총저축으로 남았다. 바로 이 총저축액이 2004년의 경우 271조4천억원이었으나 지난해는 6조5천억원(2.4%) 감소했다. 총저축액이 전년보다 감소한 경우는 지난 1980년 이후 25년만에 처음이다. 지난해 총저축액이 감소한 이유는 국민총처분가능소득 증가폭보다 소비지출이더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극심한 내수불황이 계속됐던 2004년의 경우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이 7.8% 늘어난가운데 소비지출이 4.5% 증가한 반면 2005년에는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이 3.2% 증가한가운데 소비지출이 6.2% 증가했기 때문이다. 2004년의 소비위축이 지난해는 소비회복으로 전환되면서 총저축이 줄어든 것이다. 한마디로 물가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가운데 경기회복으로 소비가 살아나고있음을 보여주는 현상이다. 한은 관계자는 "명목가격으로 표시되는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은 물가상승으로 절대액이 커지게 마련이며 인플레이션이 심했던 70-80년대는 소비지출 증가폭보다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이 더 빠르게 증가, 총저축액도 함께 증가해왔다"면서 "그러나 지난해는 물가상승률이 극히 낮은 가운데 소비지출이 크게 늘면서 총저축액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