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주거용 건축 허가면적 급감

6월, 고강도 집값안정책 영향 전년동기比 31%나

지난 6월 주거용 건축물의 건축허가 면적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1.4%나 줄어드는 등 정부의 고강도 집값안정대책의 영향으로 주택건설 경기가 위축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건설교통부에 따르면 6월 중 전국의 건축허가 면적은 856만9,000㎡로 전년동기보다 26.4% 감소했다. 이는 5월보다 27.4% 줄어들었으며 최근 5년간 평균과 비교해서도 33.8% 급감했다. 특히 주거용과 상업용이 각각 31.4%, 45.6% 감소했다. 반면 공업용은 25.4% 늘어 공장 신축 등 제조업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지난해 같은 달보다 47.2% 급감했고 지방 역시 6.8% 줄었다. 건축물 착공면적은 714만8,000㎡로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37.7% 감소했는데 수도권(-59.2%)이 지방(-10.1% )보다 감소폭이 컸다. 한편 상반기 주택건설 실적은 19만1,548채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7%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이중 수도권은 8만4,471채로 전년동기 대비 41.5%나 급증했다. 지방 역시 10만7,077채로 13.9% 늘었다. 건교부는 이에 따라 올해 주택공급 목표인 52만채는 무난히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주택유형별로 보면 아파트는 수도권 7만8,238채(62.5%), 지방 9만1,766채(27.7%) 등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1.7% 증가한 17만4채가 지어졌다. 그러나 다가구 및 다세대주택은 수도권(-46.0%)과 지방(-30.7%)에서 모두 감소해 전국적으로 36% 줄었다. 특히 서울은 아파트 1만5,045채(-3.9%), 다가구 및 다세대 2,660채(-42.0%)로 건설물량이 크게 줄었다. 건교부의 한 관계자는 “올해 주택공급 목표 52만채 달성은 무난할 것”이라며 “서울에서 주택건설이 감소한 것은 대규모 물량이 없었기 때문으로 하반기부터는 나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