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장관이라면 中企에 자식 취직 시키겠나"

MB 만난 중견·중소기업인 "정부관계자부터 인식 바꿔야" 쓴소리<br>청와대서 비상경제대책회의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18일 청와대에서 열린 제51차 비상경제대책회의에 참석한 중견ㆍ중소기업인들이 "(중소기업에 대한 인식에 대해) 정부 관계자들부터 달라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는 등 정부에 대해 쓴소리를 쏟아냈다. '세계적 전문 중견기업 육성전략'을 주제로 열린 이날 회의에서 통신기기 부품업체 KMW의 김덕용 사장은 "(최경환) 지식경제부 장관은 혹시 자녀들을 중소기업에 취직하라고 추천할 용의가 있느냐"고 물은 뒤 "대기업보다 연봉을 30% 더 준다고 해도 (젊은이들이) 오지 않는다"면서 "중소기업에 대한 일반의 인식이 달라져야 하고 정부 관계자부터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기업에 대한 정부의 '고(高)자세'가 달라져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조영삼 한국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지금까지 정부와 기업은 이른바 '갑을 관계'였으나 이를 바꿔서 정부가 기업의 니즈를 반영하는 실질적인 지원의 틀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기업인들은 또한 정부의 고용창출, 연구개발(R&D) 지원 등의 정책이 일선 기업의 현장 상황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자제품 제조업체 아모텍의 김병규 사장은 "R&D 지원은 우리나라가 세계 최고 수준"이라면서 "그런데 마케팅 지원이 좀 더 적극적으로 이뤄졌으면 좋겠다. 제품을 개발하고도 해외시장 판로 개척에 어려움이 있다"고 밝혔다. 공구 제조업체인 YG1의 송호근 대표는 "해외 전시회에 참가하기 위해 싱가포르 지사를 통해 싱가포르 정부에서 지원 받은 경험이 있다"면서 "전문전시회는 규모와 관계없이 정부가 지원을 해줬으면 좋겠다"고 건의했다. 송 대표는 이어 "해외 전문기관에서 퇴역한 기술자들을 활용하고 싶지만 쉽지 않은데 정부가 도와달라"고 요청했다. 손병휘 신창전기 회장은 "중견ㆍ중소기업이 괜찮은 아이템을 개발해도 이를 실험할 수 있는 시설과 설비가 필요한 데 재정부담이 있다"면서 "정부산하 연구기관의 장비를 중소기업이 함께 활용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이 대통령은 기업인들의 이 같은 의견을 들은 뒤 마무리 발언에서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을 거쳐 대기업까지 가는 게 우리 기업의 바람직한 발전형태"라면서 "기업과 정부 모두가 총체적으로 노력해야 할 것"이라며 참석한 기업인들을 격려했다고 박선규 청와대 대변인은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