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New Start New korea] 대통합으로 새한국 열자

지역·계층 벽허물고 서로 작은 희생 감수국민역량 모아야 21세기 국가발전 가능 이제는 '통합'이다. 새해의 화두는 단연 국민과 사회의 역량을 결집시키는 국민 대통합이다. 이념ㆍ계층ㆍ지역간 모든 대립과 갈등의 벽을 허물고 새로운 국가발전을 위한 첫 걸음을 힘차게 내디뎌야 하는 것이다. 우리는 산업화ㆍ민주화로 대변되는 격동의 시대를 거치면서 집단이기주의에 얽매여 서로 헐뜯고 비난했다. 가진 자와 덜 가진 자간의 극한대립도 적지않았다. 그러나 무한경쟁으로 압축되는 21세기, 우리가 도모해야 할 것은 바로 통합이다. 통합이라는 새로운 출발(New Start)을 모색해야 '새로운 대한민국(New Korea)'을 만들어낼 수 있는 것이다.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는 "국민들의 역량을 모아 새로운 대한민국을 열어나가야 한다"면서 "국민통합과 남북화해의 희망찬 미래를 실현하겠다"고 약속했다. 노 당선자는 물론 정치ㆍ경제ㆍ사회 등 각계 지도층도 새해 인사말에서 갈등과 앙금을 씻어내자고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사실 우리의 저력은 충분하다. 지난해 월드컵 길거리 응원에서 이를 확인했다. 그렇듯 우리는 지역과 계층ㆍ세대를 따지지 않고 얼마든지 하나 될 수 있는 열망과 의지를 갖고 있다. 하지만 통합을 다져나가는 과정에서 정부ㆍ기업ㆍ노동계 모두 내 몫을 찾기보다는 우리의 몫을 늘리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그런 만큼 작은 희생은 불가피하다. 작은 희생을 감수하지 않으면 신뢰를 구축할 수 없다. 김영호 경북대 교수(전 산업자원부 장관)은 "사회 구성원 모두가 민주적인 합의과정을 밟아나가면서 '교대로 희생하는' 노력이 연쇄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나보다는 '우리'를 앞세우면서 자신의 영역에서 최선을 다해야 한다. 그래야 새로운 대한민국을 실현할 수 있다. 새로운 대한민국은 '국민 모두가 잘 사는 사회'가 돼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상호존중과 협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김태동 금융통화위원회 위원은 "정부는 안정적인 국정운영, 기업은 투명ㆍ효율경영을 통한 수익 및 고용 확대, 노동계는 합리적인 임금인상 요구 및 생산성 향상에 노력할 때 우리의 경쟁력은 크게 제고될 수 있다"고 말했다. 새해 새 아침, 우리 모두 잘못된 특권의식과 지연ㆍ할연ㆍ혈연 등 연고주의, 반칙과 새치기 등 낡은 관행을 과감히 떨쳐버리고 원칙과 질서를 지켜 국민 대통합을 이룰 것을 다짐하자. 정문재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