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가계부채·3高·노동계갈등 내수회복 걸림돌"

"부채탕감·소비세 폐지·안정적 노사관계 필요"

현대경제연구원은 가계부채 누적과 원화.유가.금리 강세(3高), 노동계 갈등 등을 올해 내수 회복의 걸림돌로 꼽았다. 연구원는 8일 '2006년 내수회복 걸림돌' 보고서에서 "올해는 경기순환상 내수의점진적 회복이 예상되나 5가지 요인이 회복을 더디게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우선 가계부채 조정이 원활하지 못한 점이 꼽혔다. 연구원에 따르면 가계 부채수준(가계신용/국민총소득)은 2004년말 59.7%에서 지난해 3.4분기 62.2%로 높아졌고 부채상환부담(가계신용*이자율/국민총소득)도 같은기간 2.04%에서 2.69%로 상승했다. 이는 교역조건 악화로 실질구매력(국민총소득)은 늘지 못한 반면 고용상황은 악화되고 시중금리가 빠르게 상승했기 때문이라고 연구원은 분석했다. 연구원은 올해 이 같은 상황이 쉽게 개선되기 어려운만큼 지속되는 가계 부채부담과 함께 소비 회복도 늦춰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연구원은 또 수급 불균형에 따른 고유가, 미국 경제의 불확실성 등을 반영한 원화 강세(달러 약세), 세계 금리 상승에 동조하는 시중 금리 등 '3고 현상;이 올해고착화되면 이에 따른 기업의 채산성 악화가 투자 부진과 물가 상승, 소비 둔화로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양대 노총의 주도권 경쟁과 기업내 복수노조 허용, 정규직-비정규직간 갈등에따른 노동계의 불안도 기업의 투자 및 생산 차질, 경기 회복세 약화의 원인이 될 수있다고 연구원은 지적했다. 이밖에 지방선거와 행정도시 지방 이전, 권력구조 개헌 논의 등과 더불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정치.사회적 갈등, 고조된 반(反)기업 정서 등도 경기회복의장애 요인으로 거론됐다. 유병규 현대경제연구원 본부장은 "올해 이 같은 5대 경제 불안 요인을 해소하지못하면 소비 침체, 수출 및 기업투자 부진, 사회 불안 확대 등으로 인해 내수 회복이 지연될 수 밖에 없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정부가 정상적 경제활동이 불가능한 채무불이행자에 대한 부채 탕감,생필품에 대한 한시적 소비세 폐지 등을 통해 가계의 소비 여력을 키우고 공공요금인상 자제와 자원 수입선 다변화로 기업의 비용 부담을 줄여줘야한다고 주장했다. 또 노사의 불법행위에 대한 명확한 원칙 확립, 실사구시적 경제 정책 수립, 기업과 경제에 대한 교육 강화 등도 병행돼야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