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靑-재경부, 산은총재 인선 시각차

재경부 "관료가 맡아야" 청와대 "민간에도 개방"

靑-재경부, 산은총재 인선 시각차 재경부 "관료가 맡아야" 청와대 "민간에도 개방" 권구찬 기자 chans@sed.co.kr 김영기기자 young@sed.co.kr 차관급인 산업은행 총재를 놓고 돌아가는 분위기가 예사롭지 않다. 추천권을 지닌 재정경제부는 ‘전례’와 ‘산은의 특성’을 들어 관료 출신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지만 청와대 입장은 다른 듯하다. 다른 공기업과 마찬가지로 산은도 관료와 민간인을 같은 잣대 위에 놓고 판단하겠다는 것이다. 자연스럽게 ‘모피아(재경부 출신 관료들의 통칭)’에 대한 잇따른 어깃장 놓기의 연장선상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관료들은 대놓고 반발은 하지 못하지만 곳곳에서 불편한 심경들이 표출되고 있다. 유지창 전 산은 총재가 은행연합회장으로 옮기는 데 따른 후임 총재는 지난주 말쯤 매듭지어질 것으로 관측됐었다. 양천식 금융감독위원회 부위원장과 김광림 전 재경부 차관간 양자 구도로 진행돼왔다. 그런데 상황이 확 바뀌고 있다. 김용덕 건설교통부 차관이 부상하더니 민간인 CEO가 유력하다는 말까지 나왔다. 심훈 부산은행장, 장병구 수협은행장 등 구체적인 이름까지 나오고 있다. 이윤우 부총재 등 산은 내부 인사의 기용 가능성도 제기된다. 청와대도 부분적으로 이를 시인했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10명의 후보를 선별해 현재 5~6명으로 압축하고 있는 단계”라고 말했다. “‘관료 배제, 민간 등용’이라는 소문이 돌고 있는 데 대한 얘기도 들었지만 그 부분에 대해서는 노코멘트”라고 했다. 다만 후보군에 관료 출신과 민간인 CEO들이 섞여 있으며 병렬로 보고 있다는 점은 인정했다. 민간인 CEO의 등장 가능성에 관료 사회 곳곳에서 당혹스럽다는 반응이 흘러나오고 있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산은은 정부 정책을 펼치는 하나의 도구로 은행이 아닌 정책의 역할 부서로 존재하는 것”이라며 관료 출신 필요성을 조목조목 설명했다. 직설적으로 말은 못하지만 현 정부 들어 계속돼온 ‘모피아 때리기’에 대한 섭섭함도 감추지 못한다. 진통이 이어지면서 선발작업도 늦어질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관계자는 “오래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일러야 오는 17일께나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산은 총재 인사는 이래저래 말들을 남길 수밖에 없을 듯하다. 입력시간 : 2005/11/07 20:51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