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7월부터 소형적용 1,600cc급 승용차 판매량 지속 증가

자동차 업계가 지난해 하반기부터 내놓은 1,600㏄급 준중형 승용차들의 판매가 호조를 보이고있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르노삼성차가 지난해 7월 출시한 ‘SM3 CVTC 1.6’ 모델의 경우 전체 SM3 판매량 가운데 차지하는 비율은 월평균 10대중 7대 꼴인 73%에 달한다. 전체 SM3 판매량 가운데 1,600㏄ 모델이 차지하는 비율은 지난해 7월 67%에서 11월에 80%로 높아진뒤 12월 82%, 올 1월 81%, 2월 80%, 3월 79% 등으로 80%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현대차의 뉴아반떼XD 1.6 모델도 전체 뉴아반떼XD 판매량 가운데 차지하는 비중이 출시 첫 달인 지난해 7월에는 13.9%에 불과했으나 8월 40.2%로 급등하더니 올 1월 52.9%, 2월과 3월 각 51.4% 등으로 높아져 절반을 넘어섰다. 라비타 1.6 모델의 판매 비율도 지난해 7월 23.5%였으나 올 1월 88.7%, 2월 95.2%, 3월 93.5% 등으로 크게 높아졌다. GM대우차의 라세티도 전체 판매량 가운데 1,600㏄ 차량의 비중이 지난해 10월 출시 이후 올 3월까지 평균 64.5%에 달하고 있다. 이밖에 기아차가 지난해 7월 출시한 쎄라토 1.6 모델도 현재까지 전체 판매량의50% 가량을 차지할 정도로 1,600㏄급 차량들이 호응을 얻고 있다. 이처럼 1,600cc급 차량들이 인기를 끌고 있는 것은 기존의 1,500㏄ 차량보다 배기량이 커지면서 품질이나 성능은 향상된 반면 7월부터 소형차 세제 및 도시철도채권 매입 기준이 현행 1,500cc에서 1,600cc로 조정돼 등록 비용이나 자동차세 등보유 비용이 줄어드는데 따른 것이다. 1,600㏄ 차량은 1,500㏄급보다 연비가 같거나 더 높아지고 출력도 좋아진 반면 판매가격은 10만~30만원 가량 밖에 비싸지 않다. 또 세제와 도시철도채권 매입 기준이 바뀌면 구입때 드는 비용은 20만원 정도,자동차세 등 보유세도 30% 가량 각각 줄어들게 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