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과천청사 활용방안, 주민 눈치보기 급급

기업체입주등 제시 불구 반대 여론에 갈피못잡아


재정경제부 등 11개 정부 부처의 이전확정으로 빈 집이 될 과천시 제2정부종합청사의 활용방안이 관계기관들의 주민눈치 보기로 갈피를 잡지 못해 표류하고 있다. 과천 정부 부처의 이전이 확정된 후 정부 국가균형발전위원회와 경기도에서 빈 공간을 R&D연구센터, 정보벤처타운, 수도권관련 정부기관 이전 등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흘러나왔지만 과천시와 과천 시민들의 필사적 반대에 눈치만 보고 있다. 국가균형발전위원회는 “주민들의 의견을 최대한 수렴하겠다”는 원론적 입장을 밝히고 있으나 현재 주민들이 후속대책이 아닌 이전반대를 요구하고 있어 논의 자체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게다가 이들은 파격적인 용도변경이나 재원조달에 부정적 입장을 보이고 있어 과천청사 이용방안의 실제 논의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전망이다. 경기도는 현재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여있는 과천시 중앙동 과천청사 부지 11만평(36만㎡)을 용도변경해 기업이나 연구시설 등이 입주가능토록 하는 데 드는 비용만 1조2,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경기도는 행정도시특별법의 국회통과이후 손학규지사의 적극 대책마련 지시로 ‘과천대책반’을 구성하고 첨단기업중심의 클러스터조성방안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지만 주민반대에 주춤하고 있다. 손지사가 미국방문 후 귀국 첫날인 지난 13일 긴급 시장ㆍ군수회의를 소집하고 의견조율을 시도했으나 그동안 경기도청 국장을 지낸 인연으로 ‘친(親)손학규파’로 구분됐던 여인국 과천시장이 경기도의 정책에 반기를 들어 당분간 경기도-과천시간 행정협의도 어려울 전망이다. 경기도 고위관계자는 “과천시의 행정수도이전 반대운동이 경기도와 과천시간 행정균열을 초래하고 있으며 자칫 토공, 주공 등 대규모 공사가 입지해 있는 성남시민의 조직적 반발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