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치]총리인준,정국긴장예고

이한동(李漢東) 총리 지명을 계기로 여야 영수회담이후 비교적 평온을 유지해온 정국이 긴장될 가능성이 커졌다.물론 외관상으로 민주당과 자민련간 공조복원의 기틀은 마련했다고 볼수 있다. 그러나 강창희(姜昌熙)총장 등 자민련 일부 세력이 민주당과 공조복원에 반발하고 있는데다 김종필(金鍾泌)명예총재의 의중이 정확하게 드러나지 않아 곧바로 양당 공조회복으로 이어질 것으로 판단하기는 아직 이르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이에따라 李총리 지명을 계기로 한나라당의 반발 야기와 총리지명에 반발하는 자민련 일부 인사 설득문제가 남아 16대 국회 개원후 李총리서리의 국회임명동의를 놓고 여야간 실력대결이 예상된다. 한나라당이 이날 「정계개편 시도」라고 반발하고 나섬으로써 지난달 24일 여야 영수회담이후 비교적 평온을 유지해온 여야관계에 한달만에 긴장이 조성되고 있다. 여기에 한나라당이 자기당을 탈당한 李 총리지명자에 대한 감정까지 겹쳐 인사청문회 문제를 고리로 민주당과 자민련의 공조체제 복원에 제동을 걸려고 하기때문이다. 여권은 양당 공조복구를 전제로 「민주당 115석+자민련 17석+무소속 4석」등 국회내 136석을 확보, 한나라당의 133석보다 3석이 더 많은 것으로, 일단 의석수에서 정국 주도권을 행사할 기반이 마련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여기에 최근 여당행을 시사해온 무소속 정몽준(鄭夢準)의원의 민주당 입당 가능성 등으로 과반수(137석)를 확보한 셈이라고 할 수 있다. 한나라당이 『「상생」이 아닌 「상극」 정치로의 복귀』라고 반발하고 있는 것도 이같은 주도권 반전을 의식한 것으로 풀이된다. 먼저 여권은 인사청문회법이 입법되기 이전이라도 일반의안으로 청문회를 개최하는 게 가능하다고 보고 청문회를 개최한다는 원칙을 정하고 무소속 의원들의 협조, 그리고 친(親)이한동 한나라당 일부 세력의 동조 등으로 임명동의가 무난히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한나라당은 「청문회전 임명동의 불가」방침을 분명히 하고 나서 총리인준 문제를 놓고 여야가 심각한 대립국면에 빠져들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에 따라 국민의 정부 출범초기 김종필 총리 인준때와 같은 늑장 사태가 재연될 가능성도 높아 李 총리 지명은 총선 이후 상생의 정치를 표방해온 여야 관계의 변화 여부를 가늠해볼 수 있는 잣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또 양당공조복원은 자민련이 사활을 걸고 있는 원내교섭단체 구성문제가 매듭 지어진후 점진적으로 이뤄지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우세하다. 양정록기자JRYANG@SED.CO.KR 양정록기자JRYANG@SED.CO.KR 입력시간 2000/05/22 17:46 ◀ 이전화면

관련기사



양정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