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디지털TV 전송방식 미국식 아닌 한국식"

일부 명칭변경 주장

4년을 끌어온 디지털TV(DTV) 전송방식에 대한 논란이 종식된 가운데 기술표준으로 결정된 ATSC 방식을 ‘미국식’이 아닌 ‘한국식’으로 불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돼 관심을 끌고 있다. 12일 IT 커뮤니티 사이트인 케이벤치에 따르면 ‘HDTV 사용자모임’은 이 사이트에 기고한 글에서 “ATSC 방식을 만든 사람도 한국인이고 가장 많은 기술특허를 가진 나라도 한국”이라며 “미국식이라는 명칭을 한국식으로 바꿔 부르자”고 주장했다. 이 모임은 LG전자 최고기술책임자(CTO)인 백우현 사장이 지난 90년 제안한 핵심기술을 토대로 ATSC 방식이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근거로 들었다. 제너럴인스트루먼트(GI)와 퀄컴에서 20년간 연구원으로 활동한 백 사장은 DTV 신호의 압축과 암호화 방식을 개발, 세계 최초로 완전한 DTV 규격을 제안한 바 있다. 백 사장은 DTV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권위 있는 에미상과 클라크상을 수상했고 USA투데이는 그에게 ‘DTV의 아버지’란 별명을 붙여주기도 했다. 모임은 또 DTV 관련 특허의 33%를 소유하고 있는 한국이 미국(30%), 일본(22%), 유럽(15%) 등에 앞서는 세계 최고의 특허 보유국이라는 점도 강조했다. 이에 대해 ATSC 방식의 핵심 원천기술을 갖고 있는 LG전자는 “ATSC를 한국식으로 부르면 미국이 가만히 있겠느냐”면서도 한국식으로 바꿔 부르는 게 싫지는 않다는 표정이다. LG전자는 연간 1억달러의 DTV 로열티를 벌어들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재홍 정보통신연구진흥원 수석전문위원은 “일리 있는 주장이지만 표준화를 미국에서 했기 때문에 다소 무리가 있다”며 “차라리 ‘한미식’으로 지칭하는 게 어떠냐”고 제안했다. 일각에서는 미국식ㆍ유럽식ㆍ한국식의 구분법이 국내에서만 사용되는 무의미한 것이라며 정확한 기술적 용어로 불러야 옳다는 주장도 펴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