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김근태 "신애라·차인표 부부 정말 고맙습니다"

"마음 같아선 당장 해외입양 중단 선언하고 싶지만…"


김근태 보건복지부장관은 황우석 교수의 줄기세포 연구를 둘러싼 파문에 대해 "진실이 바로 국익"이라면서 "이미 벌어진 일에 대해서는 사실을 명확히 밝히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20일 밤 자신의 홈페이지에 '생명공학의 위기와 가슴으로 낳은 딸'이라는 글을 올려 이 같이 밝히고 "후유증은 크겠지만 우리에겐 자정능력이 있다는 사실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면서 "진실규명의 계기는 섀튼 교수나 사이언스지가 한 게 아니라 우리 대한민국의 소장 과학자들이 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김 장관은 "어떤 우여곡절을 겪더라도 우리 과학기술은 계속 발전해야 한다"면서 "인류에게 새로운 희망을 안겨줄 생명공학 발전을 위한 투자도 위축돼선 안 된다"고 말했다. 황우석 사태를 둘러싼 논란을 '우울한 소식'이라고 밝힌 그는 신애라·차인표 부분의 입양 소식은 '눈에 확 띄는 반가운 소식'이라고 말했다. 김 장관은 이들 부부의 입양은 "답답하던 국민들의 가슴에 신선한 기쁨을 안겨준 소식"이었다면서 "특히 '가슴으로 낳은 딸'이라는 신애라씨의 말은 많은 분들의 가슴에 작지 않은 울림을 일으켰다"고 했다. 그는 "그 딸을 낳기 위해 두 분이 오랫동안 진정으로 기도하고 봉사해왔다는 소식을 들으며 얼마나 고마웠는지 모른다"면서 "신애라·차인표씨 가족에게 다시 한 번 진심으로 축하를 드린다. 두 분의 결단에 박수를 보낸다"고 말했다. 해외 입양인들로부터 '국내입양을 활성화해달라'는 부탁을 많이 받았다는 그는 그들로부터 "지금 해외로 떠나는 아이들이 커서 왜 대한민국이 나를 버렸느냐고 묻는다면 뭐라고 대답할 것인가?"라는 질문을 받을 때 부끄러웠다고 고백했다. 그러면서 그는 "더 참담한 것은 그분들의 그 말씀에 100% 동의하면서도 '그렇게 하겠다'고 대답할 수 없는 답답한 현실이었다"고 덧붙였다. 그는 "마음 속으로는 '당장이라도 정책적으로 해외입양 중단을 선언하고 밀어붙여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국내입양의 어려운 현실을 잘 알면서 그렇게 할 수는 없다"면서 "별 수 없이 중기계획을 세워 해외입양 중단을 실현할 계획이다. 정책적 지원과 입양에 대한 사회적 인식전환을 위해 최선을 다해서 국내입양을 늘려나갈 생각이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신애라·차인표 씨가 내린 결단이 소중한 계기가 될 것으로 믿는다"면서 "두 분의 입양이 우리사회에 자리 잡고 있는 '핏줄'과 '입양'에 대한 편견을 바로잡는 큰 전환점이 됐으면 하는 기도를 바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