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발언대/10월 23일] 친환경차 개발·보급 시급하다

지구온난화 문제가 세계적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유엔기후변화협약에 따라 오는 2013년에는 온실가스 의무감축국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천정부지로 치솟던 유가는 최근 들어 세계경제 침체로 기세가 꺾였지만 여전히 고유가 시대를 맞고 있다. 자동차업계로서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에너지소비효율이 높은 차량을 개발, 보급할 수밖에 없다. 문제는 가솔린과 디젤 등 기존의 내연기관 자동차로는 이 같은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데 한계가 있어 이를 대체할 신개념 자동차, 즉 친환경차 보급이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하이브리드자동차와 연료전지자동차 같은 이른바 친환경차의 개발과 보급이 시급한 국가적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환경친화적인 자동차 개발은 많은 자금이 소요되고 투자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특정업체의 독자적인 개발이 쉽지 않다. 그래서 미국ㆍ일본ㆍ독일 등 자동차 강대국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친환경자동차 개발을 위해 국가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일본의 경우는 저공해자동차 기술개발에 2012년까지 1조7,000억원을 지원한다. 미국은 지난 2003년부터 2010년까지 지원하고 있는 기존의 연료전지차 개발지원금 2조7,000억원과는 별도로 새로운 방식의 하이브리드 기술인 플러그인(Plug-In) 하이브리드 개발에 2010년까지 3,000만달러를 추가 지원하기로 했다. 유럽연합(EU)도 연비가 우수한 클린디젤 및 디젤하이브리드차와 수소연료전지개발사업에 2015년까지 총 9조8,000억원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2004년부터 2007년까지 정부지원 총액이 약 931억원에 불과했고 앞으로 4년 동안 지원할 금액도 겨우 1,400억원 정도로 미미한 수준이다. 이는 자동차 선진국 지원규모에 비해 터무니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일본ㆍ미국 등 선진 자동차 강국을 따라잡고 중국 등 후발국의 추격을 이겨내기 위해서는 지금부터라도 5년 후, 10년 후를 내다보고 미래형 자동차에 대한 기술개발을 범국가적인 프로젝트로 추진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가 10년간 매년 2,000억원 이상의 기술개발자금을 집중 지원해 고부가가치 핵심부품의 원천기술을 이른 시일 내에 개발함으로써 차세대 자동차 시장의 경쟁에서 낙오되는 일이 없어야 한다. 우리가 자동차 선진국의 내연기관 기술을 따라잡는 데 무려 40여년이라는 긴 세월이 소요됐지만 하이브리드차나 연료전지차는 선진국도 개발을 시작한 지 그리 오래되지 않는다. 이제부터라도 자동차업계와 정부가 힘을 합쳐 강력하게 추진하겠다는 의지와 실천이 중요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