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세계로 번지는 브라질 위기

위기의 발단은 지난 6일 브라질 제2의 경제력을 가진 미나스 제라이스 주정부가 연방정부에 대해 부채지불유예(모라토리엄)를 선언하면서 비롯되었다. 다른 주정부도 지불유예 선언설이 나돌면서 위기가 브라질 전국으로 확산,사태는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악화되었다. 레알화가 평가절하되고 중앙은행 총재가 사임하기까지 했다.드디어는 국경을 넘어 중남미와 미국을 거쳐 미국 유럽에 이어 홍콩 싱가포르 등 아시아 외환시장으로 파급되었다. 세계의 금융시장에서 거의 동시에 주가가 폭락하고 환율불안 등 외환시장이 혼란에 빠졌다. 우리나라도 예외가 될 수 없어서 주가가 폭락하고 환율이 오르는 등 적지않은 영향을 받고 있다. 지난해 타이에서 출발한 외환위기가 세계로 번졌고 그 파장으로 인해 우리나라는 국제통화기금(IMF)사태를 맞은 경험이 생생하다. 이번 브라질 위기도 우리에겐 강건너 불보듯 할 수 없는 쇼크로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브라질 위기의 근본 원인은 주정부와 중앙정부의 불화,그리고 세계적인 불황에 따른 원자재 수출부진과 외환부족에서 찾을 수 있겠지만 수습이나 파급차단이 쉽지않을 전망이다. 여기에 미국 일본 유럽 등 선진국 경제의 불확실성에다가 러시아의 대외채무 불이행(디폴트)선언 가능성까지 겹쳐 세계적인 공황으로 악화될지 모른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가고 있다. 미국이 앞장서서 위기확산 방지와 극복을 위한 선진국 공조에 나서고 있지만 상황이 상황이니 만큼 결과는 두고 보아야 할 것이다. 브라질 사태는 우리에게 먼나라 얘기가 아니다. 이미 우리나라에 파장을 미치고 있는 것만 보아도 알 수 있는 일이다. 특히 지난해의 외환위기에서 이제 겨우 회복단계에 들어섰는데 또 한번 위기를 맞는다면 최악의 사태로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남다른 판단과 대비자세가 필요하다. 무엇보다 수출환경의 악화를 주시하고 정책적 무게를 두지 않으면 안된다. 외환 확보 방안도 미리 대비해야 한다. 이럴 때 일수록 낙관론은 접어두는 것이 현명하다. 세계 경제가 흔들리고 급랭할 가능성이 높아가고 있는데도 우리만 좋아지리라는 환상에 젖는 것은 위기를 자초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경제에 국경이 무너진지 오래다. 그만큼 위기도 국경이 없이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 국제적인 위기의 충격을 최소화할 관리능력을 기르고 안전장치를 마련해두는 일에 소홀해서는 안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