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車업계 외국인CEO 본격 경영행보 나섰다

"업무파악·임단협 끝" GM대우-스킨십·르노삼성-메시지·쌍용차-한중 가교경영

그리말디 GM대우사장

위르띠제 르노삼성 사장

머터우 쌍용차 대표

올해 새로 부임한 완성차 업체의 외국인 최고경영자(CEO)들이 유난히도 치열했던 임단협을 마무리짓고 본격적인 경영행보에 나섰다. 이들은 특히 스킨십 경영과 메시지 경영, 한중 가교경영 등 저마다의 색깔을 내세워 눈길을 끌고 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8월 초 부임한 마이클 그리말디 GM대우 사장은 가장 중요한 현안이었던 올 임단협이 노조 찬반투표에서 한 차례 부결되는 우여곡절 속에 마무리된 뒤 생산현장을 순회하며 스킨십 경영을 강화하고 있다. 그리말디 사장은 지난달 말 사내 인트라넷에 올린 첫 담화문에서 “열린 커뮤니케이션과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서로 협력해 ‘최고’라는 수식어가 당연시될 수 있도록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그는 “전세계 고객들이 열광할 수 있는 최고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GM대우는 이 과정에서 중형 승용차인 토스카 구입 고객을 대상으로 최고 60%까지 보장하는 할부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승부수를 띄우기도 했다. 3월 취임한 장 마리 위르띠제 르노삼성 사장도 13일 6년 연속 무분규로 올 임단협을 마무리한 뒤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임직원들이 자부심을 갖고 근무할 수 있도록 업무환경 개선과 복리후생 향상에 노력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선순환적 노사관계를 추구해나가겠다”고 다짐했다. 위르띠제 사장은 취임 이후 수시로 사내 인트라넷 게시판 등을 통해 전 임직원들에게 경영방침을 전파하는 ‘메시지 경영’으로도 화제를 모으고 있다. 그는 이달 초 창립 6주년을 맞아 인트라넷에 올린 메시지에서 “4년 연속 흑자 등 최근 성과는 직원들이 이뤄낸 결과이며, 도전정신과 주인정신으로 정진하면 우리는 반드시 성공할 것”이라고 자신감을 불어넣기도 했다. 지난달 11일 취임하자마자 구조조정을 둘러싼 노조의 옥쇄파업 등으로 혹독한 신고식을 치른 필립 머터우 쌍용차 공동대표도 다음주 첫 기자간담회를 열어 향후 경영방침 등을 밝힐 예정이다. 이 자리에는 특히 최근 새 집행부를 꾸린 정일권 노조위원장이 함께 참석하기로 해 관심을 끌고 있다. 대주주인 상하이차그룹의 글로벌 사업을 총괄하고 있는 머터우 사장은 한국과 중국을 수시로 오가면서 그룹 전체적인 시너지 효과 창출 구상에 여념이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